페럿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ferret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신뢰성 있고 확인할 수 있는 출처가 제시되도록 번역하여 주십시오. 번역을 완료한 후에는 {{번역된 문서}} 틀을 토론창에 표기하여 저작자를 표시하여 주십시오. 문맥상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문서를 같이 번역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번역을 확장할 필요가 있는 다른 문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분류:번역 확장 필요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
|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를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9월) |
페럿 |
|
가축화 | |
Mustela putorius furo Linnaeus, 1758 |
|
Mustela furo Linnaeus, 1758 |
페럿(ferret)은 식육목 족제비과 중에서 유일하게 가축화 된 동물이다. 기원전 4세기경부터 가축화가 진행되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야생성이 매우 희미해 사육사의 보호 없이는 야생에서 생존할 수 없다.
하루 중 약 15시간의 시간은 잠을 자며, 본디 야행성이지만 환경의 리듬에 따라 주행성이 되기도 한다. 수명은 약 8~10년이며 성체가 될 때까지 약 6개월이 걸린다. 암컷의 몸무게는 0.5~1kg 수컷의 몸무게는 1~2kg으로 수컷의 몸집이 더 크다.
페럿을 반려 동물로 기르기 위해서는 중성화 수술과 취선 제거 수술이 꼭 필요한데 이는 페럿이 발정기때 교미를 하지 못하면 성호르몬 과다분비로 면역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고 취선에서 나오는 족제비과 동물 특유의 악취가 페럿을 실내에서 기르기 힘든 동물로 만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페럿을 분양받을 때에는 꼭 이 두 가지 사항을 꼭 확인해야 한다. 취선 제거 수술을 받아도 페럿은 족제비과 특유의 악취가 약간 나게 되는데 민감한 사람에게는 이것이 매우 불쾌하게 느껴질 수 있다.
페럿은 고양이보다도 순수한 육식동물로서 고양이나 개의 사료는 적합하지 않다.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여러 질병들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전용 사료를 먹여야 한다. 너무 말썽을 부리면 목덜미를 살짝 잡아주면 얌전해진다.
대중 매체[편집]
행복한 세상의 족제비에 나오는 펀치가 바로 족제비가 아닌 페럿이다. 집사인생 용시쿠에 나오는 제삐와 제오에 한하여 페럿으로 나와 있다.
외부 링크[편집]
생물 분류 식별자
전거 통제
분류:
'한국 10·18·2011 ~ 1·10·201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012 일요일, 시화호 (0) | 2022.02.20 |
---|---|
Ferret (0) | 2021.01.16 |
족제비 (0) | 2021.01.15 |
김희태 (0) | 2018.03.20 |
효창운동장 (0) | 2018.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