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市

고니-엔하위키 미러

배중진 2014. 8. 29. 06:55
옛날에 100,000,000,000,1 마리가 살았다 카더라
백조일본식 표현이므로, 한국어로 쓸 때는 '고니'라고 하는 것이 옳다는 주장도 있으나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엄연한 표준어이다.[1] (표준어=옳다 / 비표준어=틀리다는 아니다..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많이 쓰게 되면 표준어로 등재된다. 백조란 건 흰새란 뜻이므로, 엄밀히 말하면 틀린 표현이다)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로 하얀 털에 길고 가는 목이 특징. 주로 겨울에 남쪽으로 내려오는 철새다. 그 외형 때문에 창작물에서는 우아하고 여성적인 이미지로 등장할 때가 많으며, 이는 유명 발레 작품인 백조의 호수 때문에 더욱 강하게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백조의 호수, 백조 왕자 등 유럽의 동화에선 유독 이 동물로 변하는 저주가 자주 등장한다.

참고로 새끼 때에는 털이 하얗지 않고 회색에 가까운 잿빛이며, 이는 성장하면서 하얗게 변한다. 이 때문에 나온 동화가 미운 오리 새끼. 어미 고니는 새끼를 등에 태우며 키우기도 한다.

우아하게 물 위에 떠 있는 걸로 보이지만, 정작 물에 잠긴 아래 쪽에선 빠지지 않기 위해 끝임없이 발을 움직인다고 하여, 일본 등지에선 남 몰래 노력하는 사람을 이 고니에 비유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 알려진 사실로, 고니 역시 물 위를 떠다니는 다른 새들과 마찬가지로 항문 근처에 물에 뜨기 위한 기름샘을 가지고 있다.[2] 일반적으로는 여기서 나오는 기름을 몸에 묻히거나[3] 공기를 채워 그 부력을 이용하여 물 위에 뜨는 것일 뿐, 딱히 물에 빠지지 않으려고 발을 버둥거리는 것은 아니다. 다만, 물 위에서 전진할 때는 물갈퀴질을 하긴 하며, 이때 짧은 다리를 허우적대는 모습이 좀 안쓰러운 건 사실이다.(...)[4]

멀리서 본다면 매우 우아해 보이겠지만,떼로 모여있는 것들은 가까이 다가가지 않는 게 좋다. 물리면 매우 아프다.

유럽 귀족이나 왕족들은 요리상에 공작이나 고니 통구이 따위를 종종 올린다. 이 경우 깃털은 미리 뽑아 두었다가 요리한 후에 다시 붙인 것. 깃털이 붙은 채 요리한 게 아니다. 영국 왕실이 템즈 강에서 소유한 고니 같은 것도 이렇게 요리하는 데 쓰려고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고니들 중에서도 '큰고니'라는 종은 크기가 꽤 커서 실제로 보면 놀라는 경우가 많은 편. 날개를 펼치면 2.5미터에서 3미터에 달하는 것도 있다고 한다.

여담이지만, 귀납법의 단점을 설명하는 예시로 검은 백조(흑고니)가 자주 등장한다. 흑조 이론 항목 참조.

'뉴욕 市'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ctoria Amazonica 9/10  (0) 2014.09.12
공작  (0) 2014.08.31
소나무  (0) 2014.08.26
Victoria amazonica  (0) 2014.08.13
Toucan  (0) 2014.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