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2019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배중진 2019. 4. 24. 21:42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국보
종목국보 제323호
(2018년 4월 20일 지정)
시대고려 목종
위치
논산 관촉사 (대한민국)
논산 관촉사
주소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254 관촉사 경내
좌표북위 36° 11′ 19″ 동경 127° 06′ 47″ / 북위 36.188569° 동경 127.113072° / 36.188569; 127.113072좌표: 북위 36° 11′ 19″ 동경 127° 06′ 47″ / 북위 36.188569° 동경 127.113072° / 36.188569; 127.113072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해지)
종목보물 제218호
(1963년 1월 21일 지정)
(2018년 4월 20일 해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論山 灌燭寺 石造彌勒菩薩立像)은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 경내에 동남방을 향하여 서있는 고려시대 최대 석조 미륵보살 입상이다. 968년(고려 광종 19년)부터 37년에 걸쳐 완성되었다.

역사[편집]

968년(고려 광종 19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37년이나 걸려 1006년(목종 9년)에 완성되었다. 관촉사가 있던 옛 지명이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관촉리(현재의 관촉동)로 은진미륵(恩津彌勒)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21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4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323호로 승격되었다.[1]

규모[편집]

높이 18.12미터, 둘레 9.9미터로 국내 최대의 석불이다. 천연의 화강석 암반 위에 허리 아랫부분, 상체와 머리 부분을 각각 하나의 로 조각하여 연결하였다. 바닥에서 어깨까지는 11.62미터, 어깨에서 보관까지 4.07미터, 보관높이 2.43미터, 귀길이 1.8미터, 입 1.06미터 이다. 하체는 원래 그 자리에 우뚝 솟아 있던 원석으로 만들었고, 상체는 계룡석으로 논산시 연산면 고적리 쇠머리에서 가져왔다. 관촉사 사적비 내용에 따르면 혜명스님을 비롯한 백공(석공) 100여명이 건설하였다고 한다.[2]

형태[편집]

머리에는 구름무늬 같은 머리카락이 조각되어 있고 그 윗부분의 관까지는 정으로 다듬은 흔적이 있고, 관은 8각형으로 깎았다. 그 위에 2중의 보관을 올리고 관의 네 귀에는 청동제 방울을 달았다. 얼굴은 이마가 좁고 턱이 넓은 역제형(사다리꼴)으로 눈이 옆으로 길게 돌아갔고 코, 입, 귀는 모두 크고 토속적인 느낌이다. 굵은 목에는 3도가 있고, 귀는 어깨까지 내려오며, 좁은 어깨에는 가로무늬가 있고 몸중앙으로 몇 개의 U형 옷주름을 둘른 단조로운 무늬의 법의가 걸쳐져 있고, 양손은 가슴까지 들어올려 한손에는 가지를 들고 있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데 이는 아미타여래중품하생인을 표현한 듯하다.[3]

특징[편집]

눈코입은 과장되어 있는 무정형의 안면으로 턱밑에 음각선이 비만해 보이고, 불신은 어깨와 동체 폭이 같은 석주형으로 4등신의 비사실적 비례로 서민에게 친밀감을 준다. 평야지대의 그리 높지 않은 언덕에 우뚝 서있어 들녘에서 일하는 농부나 길을 가는 행인들도 쉽게 볼 수 있다. 통일신라의 불상조각 보다는 정교하지 못하나, 규모의 장대함이나 고려시대 독자적인 특이한 양식으로 토속신앙과 불교가 혼합된 석불상이다.[2]

국보 승격 사유[편집]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고려 광종(光宗, 재위 949~975)의 명으로 968년경 승려 조각장 혜명(慧明)이 제작한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석불로서,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18호로 지정․관리되어 오다가, 이번에 고려시대 신앙과 불교조각사에 있어서의 위상을 재평가 받아 국보로 승격하게 되었다.

석불과 관련된 기록은 고려 말 승려 무외(無畏)가 쓴 「용화회소(龍華會䟽)」를 비롯해『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년), 고려 문인 이색(李穡, 1328~1396)의 시 등에서 찾아 볼 수 있으며, 내용을 종합해 보면 고려왕실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당대 뛰어난 조각장이 참여하여 제작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보살상은 좌우로 빗은 머릿결 위로 높은 원통형 보관(寶冠)을 썼고 두 손으로 청동제 꽃을 들고 있다. 널찍하고 명료한 이목구비와 균제되지 않는 압도적인 크기 등은 한국 불상 중 가장 독창적이고 특색 있는 미의식을 창출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우아한 이상미(理想美)를 축구한 통일신라 조각과는 전혀 다른 파격적이고 대범한 미적 감각을 담고 있는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우리나라 불교신앙과 조각사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독창성과 완전성 측면에서도 뛰어나 국보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1]

사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동: 문화재청고시제2018-43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 지정 및 해제), 제19240호 / 관보(정호) / 발행일 : 2018. 4. 20. / 39 페이지 / 774.8KB
  2. 이동: 조은행 (1996). “韓國의 石材佛像 硏究 : 灌燭 恩津彌勒菩薩立像”. 《전북대학교대학원미술학과》 (학위논문). 
  3. 표수희 (2012년 4월 23일). “국가지정 문화재”. 논산시청. 2012년 5월 13일에 확인함.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참고 자료[편집]

'한국·20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학사  (0) 2019.04.24
미륵보살  (0) 2019.04.24
한국의 미술  (0) 2019.04.24
영규  (0) 2019.04.24
갑사 (사찰)  (0) 2019.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