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사태
1·21 사태 | |||||||
---|---|---|---|---|---|---|---|
냉전, 한반도 분쟁의 일부 | |||||||
| |||||||
교전국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미국 | ||||||
병력 | |||||||
124부대 | 제2보병사단 |
1·21 사태(-事態)는 김일성의 명령으로 1968년 1월 21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속의 군인 31명이 대한민국의 청와대를 기습하여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정희를 제거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이다. 당시 유일하게 생포되었던 김신조의 이름을 따서 김신조 사건이라고도 한다.
개요[편집]
이 사건은 1968년 1월 13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족보위성 정찰국의 124부대 소속 31명이 조선인민군 정찰국장인 김정태로부터 청와대 습격과 요인 암살 지령을 받아, 대한민국 국군의 복장과 수류탄 및 기관단총으로 무장하고, 1월 17일 자정을 기해 휴전선 군사분계선을 넘어 야간을 이용하여 대한민국 수도권에 잠입하였다. 이들은 청운동의 세검정 고개의 창의문을 통과하려다 비상근무 중이던 경찰의 불심검문으로 정체가 드러나자, 수류탄 및 기관단총을 쏘면서 저항하였다.
대한민국 군·경은 비상경계태세를 확립하고 현장으로 출동하여 소탕 작전을 벌였으며, 경기도 일원에 걸쳐 군경합동수색전을 1월 31일까지 전개하였다. 현장에서 비상근무를 지휘하던 종로경찰서장 최규식 총경은 총탄에 맞아 사망하였고, 124부대 소속 31명 중 29명이 사살되고 김신조는 투항하였으며, 한 명은 도주하여 북으로 넘어갔다. 도주한 이는 조선인민군 대장인 박재경으로, 총정치국 부총국장을 역임하고 2000년, 2007년에 방한하여 송이버섯을 선물하기도 했다.[1]
결과[편집]
시도는 미수에 그쳤으나, 이 사건 이후에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관계를 이유로 하여, 박정희는 ‘국가안보 우선주의’를 선언하였다. 안보우선주의는 노동조합과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는 근거가 되었으며, 대한민국 예비군과 육군3사관학교가 창설되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교련 교육이 실시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대한민국은 특수부대인 684 부대를 비밀리에 조직하여 보복성 공격을 계획하였으나, 미국과 소련 사이에 데탕트가 조성되면서 불발에 그쳤다.[2]
기타[편집]
김일성은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으로, 평양을 방문한 이후락 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장과의 오찬 자리에서 1·21 사태에 대해 자신은 아는 바가 없었다고 말하였으나, 1·21 사태 당시 남파공작원이었던 김신조는 이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상투적 거짓말이라고 말했다.[3]
2013년 10월 24일 평화문제연구소 창립 30주년 기념식에서 청샤오허(成曉河) 중국 인민대학 교수는 김일성이 1965년에 제2차 한국 전쟁을 계획했지만 중국이 거부했다는 중국 외교부 기밀해제 문서(No.106-01480-07)를 공개했다.[4]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신동아 2월호'…"YS청문회 막으려 940억 풀어" 신동아 2004-01-30
- ↑ 주석궁 대신 청와대로 한겨레21, 2003.12.3.
- ↑ '무장공비' 김신조 목사 "오랜만입니다" 문화일보, 2010년 5월 28일
- ↑ 김일성, 1965년 '제2차 한국전쟁' 준비했었다 뉴스1, 2013.10.24.
외부 링크[편집]
'TV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S Pueblo (AGER-2) (0) | 2019.01.24 |
---|---|
Blue House raid (0) | 2019.01.24 |
Second Battle of Fort Wagner (0) | 2019.01.23 |
로버트 굴드 쇼 (0) | 2019.01.23 |
Robert Gould Shaw (0) | 2019.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