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FIFA 월드컵
Чемпионат мира по футболу 2018[1] | |
---|---|
대회 개요 | |
개최국 | ![]() |
개최 기간 | 6월 14일 ~ 7월 15일 |
예선 참가국 | 210 |
참가국 | 32개국 (5개 대륙) |
경기장 | 12개 (11개 도시) |
최종 순위 | |
● 우승국 | ![]() |
● 준우승국 | ![]() |
● 3위 | ![]() |
● 4위 | ![]() |
통계 | |
총 경기수 | 64경기 |
득점 총합 | 169골 (경기당 2.64골) |
총 관중수 | 3,031,768명 (경기당 47,371명) |
최다 득점 선수 | ![]() |
최우수 선수 | ![]() |
최우수 신인 선수 | ![]() |
최우수 골키퍼 | ![]() |
페어 플레이 | ![]() |
이전 대회 / 다음 대회 | |
← 2014 2022 → | |
2018년 FIFA 월드컵(러시아어: Чемпионат мира по футболу 2018)은 FIFA 주관으로 4년마다 한 번씩 열리는 FIFA 월드컵의 21번째 대회이다. 이 대회는 2010년 12월 2일, 2018년 및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국 선정을 통해 개최권을 따낸 러시아에서 2018년 6월 14일부터 7월 15일까지 열린 월드컵이다.[2] 이번 FIFA 월드컵은 독일에서 개최한 2006년 이후 12년 만에 유럽에서 11번째로 열리는 월드컵 대회이자 동구권 유럽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월드컵이다.
대회 본선에는 32개국이 참가했는데, 예선전을 통과한 31개국과 주최국인 러시아가 본선에 합류했다. 총 64경기가 11개의 도시에 위치한 12개의 경기장에서 치러졌고, 결승전은 모스크바의 루즈니키 경기장에서 열렸으며, 결승전에서 프랑스가 크로아티아를 4:2로 꺾고 1998년 FIFA 월드컵 이래 20년만의 2번째 우승을 차지하였고, 원정으로써는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하였다.[3][4][5]
대회 우승국인 프랑스는 2021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진출 자격을 획득하였다.
목차
개최국 선정[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2018년과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전은 2009년 1월에 막이 올랐고, 유치 의사가 있는 국가 협회는 2009년 2월 2일까지 등록할 수 있었다.[6] 본래, 9개국이 2018년 FIFA 월드컵 유치를 희망했지만, 멕시코는 중도에 포기했고,[7] 인도네시아의 유치 의사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유치 의사를 담은 서류를 제출하지 않음에 따라 2010년 2월 FIFA에 의해 거절되었다.[8] 대회 유치 과정에서, 남아있던 비UEFA 회원국 셋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그리고 미국) 은 2018년 유치전에서 발을 빼게 되었고, 반대로 UEFA 소속국은 2022년 대회 유치전을 포기했다. 따라서, 2018년 FIFA 월드컵의 최종 유치 경쟁국은 4개조였다: 네덜란드-벨기에, 스페인-포르투갈, 러시아, 그리고 잉글랜드.
22명의 FIFA 집행위원회 위원은 2010년 12월 2일 스위스 취리히에 모여 두 대회의 개최국을 선정하는 투표를 했다.[9] 러시아는 2회전의 투표를 통해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스페인-포르투갈이 러시아에 밀린 2위를, 벨기에-네덜란드는 3위의 득표율을 보였다. 잉글랜드의 재유치 도전은 첫 투표에서 바로 무산되었다.[10]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왔다:[11]
국가 | 득표율 | |
---|---|---|
1차투표 | 2차투표 | |
러시아 | 9 | 13 |
스페인-포르투갈 | 7 | 7 |
네덜란드-벨기에 | 4 | 2 |
잉글랜드 | 2 | – |
홍보[편집]
대회 로고는 2014년 10월 28일, 국제우주정거장의 우주비행사들에 의해 공개되었고, 이후 저녁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모스크바의 볼쇼이 극장에 띄워졌다. 비탈리 무트코 러시아 체육부 장관은 로고가 "러시아의 풍부한 예술적 전통과 대담한 역사의 업적과 혁신"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말하였고,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은 국가의 "마음과 영혼"을 투영했다고 밝혔다.[12] 홍보를 위해 사용된 서체는 두샤 (Душа, 러시아어로 영혼을 뜻함) 이며, 2014년 포르투갈 디자인 대행사인 브란디아 센트랄에 의해 제작되었다.
지역 예선[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대회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 자동 진출 자격을 얻은 러시아를 제외하고, FIFA 회원국은 예선을 통해 진출 자격을 획득할 수 있다.
미얀마는 오만과의 2014년 FIFA 월드컵 예선 경기에서 일어난 문제로 인해 대회 참가 금지령이 내려졌지만, 항소를 보내 철회했고, 대신 홈 경기를 제3국에서 치러야 했다.[13] 2015년 3월 12일, 대회 예선을 앞두고, 짐바브웨는 주제 클라우지네이 감독에 급여를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실격당했다.[14] 인도네시아 또한 예선 시작 전에 실격당했는데, 이는 정부의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 간섭에 따른 징계였다.[15]
예선 추첨식은 2015년 7월 25일, 모스크바 시간(UTC+3)으로 18:00에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스트렐나에 위치한 콘스탄티놉스키 궁전에서 진행되었다.[16][17][18] AFC와 CONCACAF의 예선 경기는 추첨 전인 2015년 3월에 이미 시작되었다.[2]
2015년 6월 30일, FIFA 행정 위원회는 FIFA 상임 회의를 통해 각 대륙 연맹에 배당된 진출국 수를 조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9][20]
2016년 5월 13일, 지브롤터와 코소보가 FIFA 회원으로 승인되어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21][22]
지역 예선 종료 결과 2014년 FIFA 월드컵에 출전했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네덜란드, 이탈리아, 칠레, 미국, 카메룬, 알제리, 가나, 코트디부아르, 그리스, 온두라스 등 지역 예선 정도는 쉽게 통과할 수 있을 것 같았던 팀들 일부가 지역 예선에서 대거 탈락했다. 반면 아이슬란드와 파나마가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폴란드, 스웨덴, 세르비아,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세네갈, 모로코, 튀니지, 페루 역시 장기간 지역 예선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다가 오랜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 진출국[편집]
다음은 본선에 진출한 32개국과 각국의 2018년 6월 7일 기준의 FIFA 랭킹이다.[23]
출전국 확대에 대한 제안[편집]
2013년 10월, 미셸 플라티니 유럽 축구 연맹(UEFA) 회장은 FIFA 월드컵 본선 참가국이 2018년부터 32개국에서 40개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제안을 냈다. 형식은 비슷하지만, 각 조에 4개국 대신 5개국이 들어가게 된다.[24] 이는 제프 블라터 국제 축구 연맹(FIFA) 회장이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들에게 유럽이나 남아메리카 국가들보다 더 많은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발언과 맞물렸다.[25] 그러나 제롬 발케 FIFA 사무총장은 2018년의 참가국 확대는 "일어나지 않을 일"이라 못박았고, 비탈리 무트코 러시아 체육부 장관은 러시아가 "32개국이 본선에 참가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준비한다"고 말했다.[26][27] 일각에서는 유럽 축구 연맹(UEFA)에서 절반 가까이 되는 자신들의 월드컵 출전권을 줄이지 않기 위해 이런 꼼수를 부리고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러시아는 다음의 도시에 FIFA 월드컵을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니즈니노브고로드, 로스토프나도누, 모스크바, 볼고그라드, 사란스크, 사마라,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치, 예카테린부르크, 카잔, 칼리닌그라드.[28] 선수들이 광대한 국토를 이동하는데 이동 시간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개최 도시는 모두 유럽 러시아 내에 있거나, 바로 외곽에 위치했다. 유치 경쟁의 평가 보고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었다: "러시아는 유치 경쟁에서 13개의 개최 도시에 16개의 경기장을 제시하여 FIFA의 최소 조건을 뛰어넘었다. 16개중 3개의 경기장이 보수될 예정이며 13개가 신축될 예정이다."[29]
2011년 10월, 러시아는 개최할 경기장의 수를 16개에서 14개로 줄였다. 모스크바 지역의 포돌스크 경기장 공사는 지역 정부에 의해 계획이 취소되었고, 옷크리티예 아레나는 디나모 경기장과 어느 경기장을 우선으로 지을지 경쟁했다.[30]
개최도시 선정은 2012년 9월 29일에 마무리되었다. 개최 도시의 수는 크라스노다르와 야로슬라블이 최종 명단에서 탈락하면서 11개로 줄어들었교, 경기장은 12개가 되었다.[31]
제프 블라터는 2014년 7월, 러시아의 경기장 완공에 관한 우려를 표명하며, 대회에 쓰일 경기장의 수를 12개에서 10개로 줄여도 좋다고 허락했다. 그는 "우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우처럼 한 경기장, 아니 둘이나 셋이 경기장에 문제가 생기는 이런 상황에 다시 놓이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덧붙였다.[32]
2014년 10월, 관계자가 러시아를 처음으로 방문했는데, FIFA 조사 위원회와 그 수장인 크리스 운거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치, 카잔, 그리고 모스크바의 두 경기장을 돌아보았다. 그들은 준비 상황에 만족감을 드러냈다.[33]
2015년 10월 8일, FIFA 및 현지 조직 위원회는 대회 기간동안 사용될 공식 경기장 명칭에 합의를 보았다.[34]
국가별 베이스캠프 위치[편집]
32개 참가국은 베이스캠프에 머물러 FIFA 월드컵 경기를 앞두고 훈련할 예정이다. 2018년 2월 9일 현재, FIFA는 월드컵 본선 진출국들의 러시아 영토 안 베이스캠프를 발표하였다.[35]
펼치기국가별 베이스캠프 위치 |
---|
일정[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모든 경기 일정(경기 개시 시간은 공개되지 않았고, 나중에 확인되었다.)은 FIFA 에 의해 2015년 7월 24일에 발표되었다.[43][44] 러시아는 조추첨에서 A1에 배정되어 6월 14일, 모스크바의 루즈니키 경기장에서 개막전을 치르게 되었고, 이 경기장은 이후 7월 11일에 열릴 준결승전 1경기와 7월 15일에 결승전을 개최할 예정이기도 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크레스톱스키 경기장은 7월 10일에 다른 준결승전 경기와 7월 14일에 펼쳐질 3위 결정전을 개최할 예정이다.
조 추첨식은 2017년 12월 1일 모스크바에서 진행되었다.
본선 조추첨[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2018년 FIFA 월드컵 본선 조추첨은 2017년 12월 1일(한국 시각 12월 2일 0시), 러시아 모스크바 소재 크렘린 궁전에서 개최되었다.[45] 본선에 참가한 32개 팀은 4팀씩 묶여 8개의 조에 배정된다.
조추첨을 위해, 본선 참가팀들은 2017년 10월 FIFA 월드 랭킹에 따라 4개 시드로 나눠져 배정될 것이다. 포트 1(톱시드)은 개최국 러시아(자동적으로 A1 자리에 배정)와 랭킹 최상위 7개팀들이 배정될 것이다, 포트 2(제2시드)는 그 다음 상위권 8개팀들이 채우고 포트 3(제3시드)는 중위권 8개팀과 포트 4(제4시드)는 하위권 8개팀이며 순서대로 배정된다.[46] 이것은 이전 대회의 조추첨과 다르다. 2014년 대회까지 톱시드만 FIFA 랭킹 기준으로 하고 나머지 시드는 대륙별로 안배를 하였다. 이전 조추첨과 같은 부분은 UEFA(유럽 축구 연맹) 소속 팀들을 제외한 타 대륙축구협회 소속 팀들은 본선 조별리그에서 같은 대륙 소속팀끼리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않는 것이다. 강팀들은 같은 조에 소속하지 않을 것이다. UEFA(유럽 축구 연맹) 소속 팀들은 한 조에 최대 2팀씩까지 배정될 수 있다.
선수 명단[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각국은 우선 30명으로 구성된 예비 명단을 작성해야 한다. 예비 명단에서, 각국은 최종 23인 명단 (이 중 3명은 골키퍼를 넣어야 한다) 을 FIFA에 마감일까지 제출해야 한다. 최종 명단에 든 선수들 중 중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국가의 1차전 경기로부터 24시간 전까지 다른 선수로 교체할 수 있었는데, 대체 선수는 예비 명단 외의 선수도 허용된다.[47]
심판진[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아래 명단은 주심 명단이다. 심판진은 같은 국가 사람들 또는 같은 언어 사용자끼리 하나의 팀으로 구성된다. 또한 편파 판정을 방지하기 위해서 심판의 조국이 치르는 경기에 해당 심판은 투입될 수 없다. 볼드체는 모든 경기에 투입이 가능한 심판이다.
조별 리그[편집]
각 조의 상위 2개국이 16강에 진출한다. 각 조의 순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규정 32조 5항):[47]
- 3경기에서 획득한 총 승점;
- 3경기에서 기록한 골득실차;
- 3경기에서 기록한 총 득점;
두 국가 이상 위의 세 부문에서 동률시 다음 방식대로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인 팀들간 획득한 승점;
-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인 팀들간 기록한 골득실차;
- 위 조건에서 모두 동률인 팀들간 기록한 총 득점;
- 페어플레이 점수
- 경고: 1점 감점;
-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 3점 감점;
- 즉각 퇴장: 4점 감점;
- 경고 후 즉각 퇴장: 5점 감점;
- FIFA 조직위원회의 추첨.
아래에 기재된 시간은 현지 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조별 리그 범례 | |
---|---|
조 1위와 2위가 16강전에 진출한다. | |
조별 리그 탈락. |
A조[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5 | 0 | +5 | 9 |
![]() | 3 | 2 | 0 | 1 | 8 | 4 | +4 | 6 |
![]() | 3 | 1 | 0 | 2 | 2 | 7 | −5 | 3 |
![]() | 3 | 0 | 0 | 3 | 2 | 6 | −4 | 0 |
출처: FIFA
(개) 개최국
2018년 6월 14일 18:00 MSK (UTC+3) | |||
러시아 ![]() | 5 – 0 | ![]() | 루즈니키 경기장, 모스크바 관중수: 78,011명 심판: 네스토르 피타나 (아르헨티나) |
가진스키 ![]() 체리셰프 ![]() 주바 ![]() 골로빈 ![]() | 리포트 |
2018년 6월 15일 17:00 YEKT (UTC+5) | |||
이집트 ![]() | 0 – 1 | ![]() | 예카테린부르크 중앙경기장, 예카테린부르크 관중수: 27,015명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
리포트 | 히메네스 ![]() |
2018년 6월 19일 21:00 MSK (UTC+3) | |||
러시아 ![]() | 3 – 1 | ![]() | 크레스톱스키 경기장,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64,468명 심판: 엔리케 카세레스 (파라과이) |
파티 ![]() 체리셰프 ![]() 주바 ![]() | 리포트 | 살라 ![]() |
2018년 6월 20일 18:00 MSK (UTC+3) | |||
우루과이 ![]() | 1 – 0 | ![]() | 로스토프 아레나, 로스토프나도누 관중수: 42,678명 심판: 클레망 튀르팽 (프랑스) |
수아레스 ![]() | 리포트 |
2018년 6월 25일 18:00 SAMT (UTC+4) | |||
우루과이 ![]() | 3 – 0 | ![]() | 코스모스 아레나, 사마라 관중수: 41,970명 심판: 말랑 디에디우 (세네갈) |
수아레스 ![]() 체리셰프 ![]() 카바니 ![]() | 리포트 |
2018년 6월 25일 17:00 MSK (UTC+3) | |||
사우디아라비아 ![]() | 2 – 1 | ![]() | 볼고그라드 아레나, 볼고그라드 관중수: 36,823명 심판: 윌마르 롤단 (콜롬비아) |
알파라지 ![]() 알다우사리 ![]() | 리포트 | 살라 ![]() |
B조[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1 | 2 | 0 | 6 | 5 | +1 | 5 |
![]() | 3 | 1 | 2 | 0 | 5 | 4 | +1 | 5 |
![]() | 3 | 1 | 1 | 1 | 2 | 2 | 0 | 4 |
![]() | 3 | 0 | 1 | 2 | 2 | 4 | −2 | 1 |
출처: FIFA
2018년 6월 15일 18:00 MSK (UTC+3) | |||
모로코 ![]() | 0 – 1 | ![]() | 크레스톱스키 경기장,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62,548명 심판: 쥐네이트 차크르 (터키) |
리포트 | 부하두즈 ![]() |
2018년 6월 15일 21:00 MSK (UTC+3) | |||
포르투갈 ![]() | 3 – 3 | ![]() | 피시트 올림픽 경기장, 소치 관중수: 43,866명 심판: 잔루카 로키 (이탈리아) |
호날두 ![]() | 리포트 | 코스타 ![]() 나초 ![]() |
2018년 6월 20일 15:00 MSK (UTC+3) | |||
포르투갈 ![]() | 1 – 0 | ![]() | 루즈니키 경기장, 모스크바 관중수: 78,011명 심판: 마크 가이거 (미국) |
호날두 ![]() | 리포트 |
2018년 6월 20일 21:00 MSK (UTC+3) | |||
이란 ![]() | 0 – 1 | ![]()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42,718명 심판: 안드레스 쿠냐 (우루과이) |
리포트 | 코스타 ![]() |
2018년 6월 25일 21:00 MSK (UTC+3) | |||
이란 ![]() | 1 – 1 | ![]() | 모르도비야 아레나, 사란스크 관중수: 41,685명 심판: 엔리케 카세레스 (파라과이) |
안사리파드 ![]() | 리포트 | 콰레스마 ![]() |
2018년 6월 25일 20:00 USZ1 (UTC+2) | |||
스페인 ![]() | 2 – 2 | ![]() | 칼리닌그라드 경기장, 칼리닌그라드 관중수: 33,973명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
이스코 ![]() 아스파스 ![]() | 리포트 | 부타이브 ![]() 엔 네시리 ![]() |
C조[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1 | 0 | 3 | 1 | +2 | 7 |
![]() | 3 | 1 | 2 | 0 | 2 | 1 | +1 | 5 |
![]() | 3 | 1 | 0 | 2 | 2 | 2 | 0 | 3 |
![]() | 3 | 0 | 1 | 2 | 2 | 5 | −3 | 1 |
출처: FIFA
2018년 6월 16일 13:00 MSK (UTC+3) | |||
프랑스 ![]() | 2 – 1 | ![]()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41,279명 심판: 안드레스 쿠냐 (우루과이) |
그리즈만 ![]() 베히치 ![]() | 리포트 | 예디나크 ![]() |
2018년 6월 16일 19:00 MSK (UTC+3) | |||
페루 ![]() | 0 – 1 | ![]() | 모르도비야 아레나, 사란스크 관중수: 40,502명 심판: 바카리 가사마 (감비아) |
리포트 | 포울센 ![]() |
2018년 6월 21일 16:00 SAMT (UTC+4) | |||
덴마크 ![]() | 1 – 1 | ![]() | 코스모스 아레나, 사마라 관중수: 40,727명 심판: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스페인) |
에릭센 ![]() | 리포트 | 예디나크 ![]() |
2018년 6월 21일 20:00 YEKT (UTC+5) | |||
프랑스 ![]() | 1 – 0 | ![]() | 예카테린부르크 중앙경기장, 예카테린부르크 관중수: 32,789명 심판: 모하메드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아랍에미리트) |
음바페 ![]() | 리포트 |
2018년 6월 26일 17:00 MSK (UTC+3) | |||
덴마크 ![]() | 0 – 0 | ![]() | 루즈니키 경기장, 모스크바 관중수: 78,011명 심판: 산드루 히시 (브라질) |
리포트 |
2018년 6월 26일 17:00 MSK (UTC+3) | |||
오스트레일리아 ![]() | 0 – 2 | ![]() | 피시트 올림픽 경기장, 소치 관중수: 44,073명 심판: 세르게이 겐나디예비치 카라쇼프 (러시아) |
리포트 | 카리요 ![]() 게레로 ![]() |
D조[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7 | 1 | +6 | 9 |
![]() | 3 | 1 | 1 | 1 | 3 | 5 | −2 | 4 |
![]() | 3 | 1 | 0 | 2 | 3 | 4 | −1 | 3 |
![]() | 3 | 0 | 1 | 2 | 2 | 5 | −3 | 1 |
출처: FIFA
2018년 6월 16일 16:00 MSK (UTC+3) | |||
아르헨티나 ![]() | 1 – 1 | ![]() | 옷크리티예 아레나, 모스크바 관중수: 44,190명 심판: 시몬 마르치니아크 (폴란드) |
아궤로 ![]() | 리포트 | 핀보가손 ![]() |
2018년 6월 16일 21:00 USZ1 (UTC+2) | |||
크로아티아 ![]() | 2 – 0 | ![]() | 칼리닌그라드 경기장, 칼리닌그라드 관중수: 31,136명 심판: 산드루 히시 (브라질) |
에테보 ![]() 모드리치 ![]() | 리포트 |
2018년 6월 21일 21:00 MSK (UTC+3) | |||
아르헨티나 ![]() | 0 – 3 | ![]() | 니즈니노브고로드 경기장, 니즈니노브고로드 관중수: 43,319명 심판: 랍샨 이르마토프 (우즈베키스탄) |
리포트 | 레비치 ![]() 모드리치 ![]() 라키티치 ![]() |
2018년 6월 22일 18:00 MSK (UTC+3) | |||
나이지리아 ![]() | 2 – 0 | ![]() | 볼고그라드 아레나, 볼고그라드 관중수: 40,904명 심판: 매슈 콩거 (뉴질랜드) |
무사 ![]() | 리포트 |
2018년 6월 26일 21:00 MSK (UTC+3) | |||
나이지리아 ![]() | 1 – 2 | ![]() | 크레스톱스키 경기장,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64,468명 심판: 쥐네이트 차크르 (터키) |
모지스 ![]() | 리포트 | 메시 ![]() 로호 ![]() |
2018년 6월 26일 21:00 MSK (UTC+3) | |||
아이슬란드 ![]() | 1 – 2 | ![]() | 로스토프 아레나, 로스토프나도누 관중수: 43,472명 심판: 안토니오 마테우 라오스 (스페인) |
시귀르드손 ![]() | 리포트 | 바델 ![]() 페리시치 ![]() |
E조[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1 | 0 | 5 | 1 | +4 | 7 |
![]() | 3 | 1 | 2 | 0 | 5 | 4 | +1 | 5 |
![]() | 3 | 1 | 0 | 2 | 2 | 4 | −2 | 3 |
![]() | 3 | 0 | 1 | 2 | 2 | 5 | −3 | 1 |
출처: FIFA
2018년 6월 17일 16:00 SAMT (UTC+4) | |||
코스타리카 ![]() | 0 – 1 | ![]() | 코스모스 아레나, 사마라 관중수: 41,432명 심판: 말랑 디에디우 (세네갈) |
리포트 | 콜라로브 ![]() |
2018년 6월 17일 21:00 MSK (UTC+3) | |||
브라질 ![]() | 1 – 1 | ![]() | 로스토프 아레나, 로스토프나도누 관중수: 43,109명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
코치뉴 ![]() | 리포트 | 추버 ![]() |
2018년 6월 22일 15:00 MSK (UTC+3) | |||
브라질 ![]() | 2 – 0 | ![]() | 크레스톱스키 경기장,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64,468명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
코치뉴 ![]() 네이마르 ![]() | 리포트 |
2018년 6월 22일 20:00 USZ1 (UTC+2) | |||
세르비아 ![]() | 1 – 2 | ![]() | 칼리닌그라드 경기장, 칼리닌그라드 관중수: 33,167명 심판: 펠릭스 브리히 (독일) |
미트로비치 ![]() | 리포트 | 자카 ![]() 샤치리 ![]() |
2018년 6월 27일 21:00 MSK (UTC+3) | |||
세르비아 ![]() | 0 – 2 | ![]() | 옷크리티예 아레나, 모스크바 관중수: 44,190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리포트 | 파울리뉴 ![]() 시우바 ![]() |
2018년 6월 27일 21:00 MSK (UTC+3) | |||
스위스 ![]() | 2 – 2 | ![]() | 니즈니노브고로드 경기장, 니즈니노브고로드 관중수: 43,319명 심판: 클레망 튀르팽 (프랑스) |
제마일리 ![]() 드르미치 ![]() | 리포트 | 와스톤 ![]() 조머 ![]() |
F조[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0 | 1 | 5 | 2 | +3 | 6 |
![]() | 3 | 2 | 0 | 1 | 3 | 4 | −1 | 6 |
![]() | 3 | 1 | 0 | 2 | 3 | 3 | 0 | 3 |
![]() | 3 | 1 | 0 | 2 | 2 | 4 | −2 | 3 |
출처: FIFA
2018년 6월 17일 18:00 MSK (UTC+3) | |||
독일 ![]() | 0 – 1 | ![]() | 루즈니키 경기장, 모스크바 관중수: 78,011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리포트 | 로사노 ![]() |
2018년 6월 18일 15:00 MSK (UTC+3) | |||
스웨덴 ![]() | 1 – 0 | ![]() | 니즈니노브고로드 경기장, 니즈니노브고로드 관중수: 42,300명 심판: 호엘 아길라르 (엘살바도르) |
그랑크비스트 ![]() | 리포트 |
2018년 6월 23일 18:00 MSK (UTC+3) | |||
대한민국 ![]() | 1 – 2 | ![]() | 로스토프 아레나, 로스토프나도누 관중수: 43,472명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
손흥민 ![]() | 리포트 | 벨라 ![]() 에르난데스 ![]() |
2018년 6월 23일 21:00 MSK (UTC+3) | |||
독일 ![]() | 2 – 1 | ![]() | 피시트 올림픽 경기장, 소치 관중수: 44,287명 심판: 시몬 마르치니아크 (폴란드) |
로이스 ![]() 크로스 ![]() | 리포트 | 토이보넨 ![]()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2018년 6월 27일 17:00 MSK (UTC+3) | |||
대한민국 ![]() | 2 – 0 | ![]()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41,835명 심판: 마크 가이거 (미국) |
김영권 ![]() 손흥민 ![]() | 리포트 |
2018년 6월 27일 19:00 YEKT (UTC+5) | |||
멕시코 ![]() | 0 – 3 | ![]() | 예카테린부르크 중앙경기장, 예카테린부르크 관중수: 33,061명 심판: 네스토르 피타나 (아르헨티나) |
리포트 | 아우구스틴손 ![]() 그랑크비스트 ![]() 알바레스 ![]() |
G조[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9 | 2 | +7 | 9 |
![]() | 3 | 2 | 0 | 1 | 8 | 3 | +5 | 6 |
![]() | 3 | 1 | 0 | 2 | 5 | 8 | −3 | 3 |
![]() | 3 | 0 | 0 | 3 | 2 | 11 | −9 | 0 |
출처: FIFA
2018년 6월 18일 18:00 MSK (UTC+3) | |||
벨기에 ![]() | 3 – 0 | ![]() | 피시트 올림픽 경기장, 소치 관중수: 43,257명 심판: 재니 시카즈웨 (잠비아) |
메르턴스 ![]() 루카쿠 ![]() | 리포트 |
2018년 6월 18일 21:00 MSK (UTC+3) | |||
튀니지 ![]() | 1 – 2 | ![]() | 볼고그라드 아레나, 볼고그라드 관중수: 41,064명 심판: 윌마르 롤단 (콜롬비아) |
사시 ![]() | 리포트 | 케인 ![]() |
2018년 6월 23일 15:00 MSK (UTC+3) | |||
벨기에 ![]() | 5 – 2 | ![]() | 옷크리티예 아레나, 모스크바 관중수: 44,190명 심판: 제이어 머루포 (미국) |
아자르 ![]() 루카쿠 ![]() 바추아이 ![]() | 리포트 | 브론 ![]() 카즈리 ![]() |
2018년 6월 24일 15:00 MSK (UTC+3) | |||
잉글랜드 ![]() | 6 – 1 | ![]() | 니즈니노브고로드 경기장, 니즈니노브고로드 관중수: 43,319명 심판: 게하드 그리샤 (이집트) |
스톤스 ![]() 케인 ![]() 린가드 ![]() | 리포트 | 발로이 ![]() |
2018년 6월 28일 20:00 USZ1 (UTC+2) | |||
잉글랜드 ![]() | 0 – 1 | ![]() | 칼리닌그라드 경기장, 칼리닌그라드 관중수: 33,973명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
리포트 | 야누자이 ![]() |
2018년 6월 28일 21:00 MSK (UTC+3) | |||
파나마 ![]() | 1 – 2 | ![]() | 모르도비야 아레나, 사란스크 관중수: 37,168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
메리아 ![]() | 리포트 | 벤 유세프 ![]() 카즈리 ![]() |
H조[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2 | 0 | 1 | 5 | 2 | +3 | 6 |
![]() | 3 | 1 | 1 | 1 | 4 | 4 | 0 | 4 |
![]() | 3 | 1 | 1 | 1 | 4 | 4 | 0 | 4 |
![]() | 3 | 1 | 0 | 2 | 2 | 5 | −3 | 3 |
출처: FIFA
- 일본과 세네갈은 승점, 골득실차, 득점이 동률을 이루어 페어플레이 점수로 순위가 결정되었다. 그 결과 일본(-4점, 경고 4회)이 2위, 세네갈(-6점, 경고 6회)이 3위가 되었다.
2018년 6월 19일 15:00 MSK (UTC+3) | |||
콜롬비아 ![]() | 1 – 2 | ![]() | 모르도비야 아레나, 사란스크 관중수: 40,842명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
킨테로 ![]() | 리포트 | 가가와 ![]() 오사코 ![]() |
2018년 6월 19일 18:00 MSK (UTC+3) | |||
폴란드 ![]() | 1 – 2 | ![]() | 옷크리티예 아레나, 모스크바 관중수: 44,190명 심판: 나와프 슈크랄라 (바레인) |
크리호비아크 ![]() | 리포트 | 시오네크 ![]() 니앙 ![]() |
2018년 6월 24일 20:00 YEKT (UTC+5) | |||
일본 ![]() | 2 – 2 | ![]() | 예카테린부르크 중앙경기장, 예카테린부르크 관중수: 32,572명 심판: 잔루카 로키 (이탈리아) |
이누이 ![]() 혼다 ![]() | 리포트 | 마네 ![]() 와귀에 ![]() |
2018년 6월 24일 21:00 MSK (UTC+3) | |||
폴란드 ![]() | 0 – 3 | ![]()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42,873명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
리포트 | 미나 ![]() 팔카오 ![]() 콰드라도 ![]() |
2018년 6월 28일 17:00 MSK (UTC+3) | |||
일본 ![]() | 0 – 1 | ![]() | 볼고그라드 아레나, 볼고그라드 관중수: 42,189명 심판: 재니 시카즈웨 (잠비아) |
리포트 | 베드나레크 ![]() |
2018년 6월 28일 18:00 SAMT (UTC+4) | |||
세네갈 ![]() | 0 – 1 | ![]() | 코스모스 아레나, 사마라 관중수: 41,970명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
리포트 | 미나 ![]() |
결선 토너먼트[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결선 토너먼트에서 정규 시간에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연장전을 전후반 15분 진행하고, 필요시 승부차기로 다음 라운드 진출자를 가린다.[47]
16강전 |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6월 30일 - 소치 | ||||||||||||||
![]() | 2 | |||||||||||||
7월 6일 - 니즈니노브고로드 | ||||||||||||||
![]() | 1 | |||||||||||||
![]() | 0 | |||||||||||||
6월 30일 - 카잔 | ||||||||||||||
![]() | 2 | |||||||||||||
![]() | 4 | |||||||||||||
7월 10일 - 상트페테르부르크 | ||||||||||||||
![]() | 3 | |||||||||||||
![]() | 1 | |||||||||||||
7월 2일 - 사마라 | ||||||||||||||
![]() | 0 | |||||||||||||
![]() | 2 | |||||||||||||
7월 6일 - 카잔 | ||||||||||||||
![]() | 0 | |||||||||||||
![]() | 1 | |||||||||||||
7월 2일 - 로스토프나도누 | ||||||||||||||
![]() | 2 | |||||||||||||
![]() | 3 | |||||||||||||
7월 15일 - 모스크바 (루즈니키) | ||||||||||||||
![]() | 2 | |||||||||||||
![]() | 4 | |||||||||||||
7월 1일 - 모스크바 (루즈니키) | ||||||||||||||
![]() | 2 | |||||||||||||
![]() | 1 (3) | |||||||||||||
7월 7일 - 소치 | ||||||||||||||
![]() | 1 (4) | |||||||||||||
![]() | 2 (3) | |||||||||||||
7월 1일 - 니즈니노브고로드 | ||||||||||||||
![]() | 2 (4) | |||||||||||||
![]() | 1 (3) | |||||||||||||
7월 11일 - 모스크바 (루즈니키) | ||||||||||||||
![]() | 1 (2) | |||||||||||||
![]() | 2 | |||||||||||||
7월 3일 - 상트페테르부르크 | ||||||||||||||
![]() | 1 | 3·4위전 | ||||||||||||
![]() | 1 | |||||||||||||
7월 7일 - 사마라 | 7월 14일 - 상트페테르부르크 | |||||||||||||
![]() | 0 | |||||||||||||
![]() | 0 | ![]() | 2 | |||||||||||
7월 3일 - 모스크바 (옷크리티예) | ||||||||||||||
![]() | 2 | ![]() | 0 | |||||||||||
![]() | 1 (3) | |||||||||||||
![]() | 1 (4) | |||||||||||||
16강전[편집]
2018년 6월 30일 17:00 MSK (UTC+3) | |||
프랑스 ![]() | 4 – 3 | ![]()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42,873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그리즈만 ![]() 파바르 ![]() 음바페 ![]() | 리포트 | 디 마리아 ![]() 메르카도 ![]() 아궤로 ![]() |
2018년 6월 30일 21:00 MSK (UTC+3) | |||
우루과이 ![]() | 2 – 1 | ![]() | 피시트 올림픽 경기장, 소치 관중수: 44,287명 심판: 세사르 아르투로 라모스 (멕시코) |
카바니 ![]() | 리포트 | 페페 ![]() |
2018년 7월 1일 17:00 MSK (UTC+3) | |||
스페인 ![]() | 1 – 1 (연장전) | ![]() | 루즈니키 경기장, 모스크바 관중수: 78,011명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
이그나셰비치 ![]() | 리포트 | 주바 ![]() |
승부차기 | |||
이니에스타 ![]() 피케 ![]() 코케 ![]() 라모스 ![]() 아스파스 ![]() | 3 – 4 | ![]() ![]() ![]() ![]() |
2018년 7월 1일 21:00 MSK (UTC+3) | |||
크로아티아 ![]() | 1 – 1 (연장전) | ![]() | 니즈니노브고로드 경기장, 니즈니노브고로드 관중수: 40,851명 심판: 네스토르 피타나 (아르헨티나) |
만주키치 ![]() | 리포트 | M. 예르겐센 ![]() |
승부차기 | |||
바델 ![]() 크라마리치 ![]() 모드리치 ![]() 피바리치 ![]() 라키티치 ![]() | 3 – 2 | ![]() ![]() ![]() ![]() ![]() |
2018년 7월 2일 18:00 SAMT (UTC+4) | |||
브라질 ![]() | 2 – 0 | ![]() | 코스모스 아레나, 사마라 관중수: 41,970명 심판: 잔루카 로키 (이탈리아) |
네이마르 ![]() 피르미누 ![]() | 리포트 |
2018년 7월 2일 21:00 MSK (UTC+3) | |||
벨기에 ![]() | 3 – 2 | ![]() | 로스토프 아레나, 로스토프나도누 관중수: 41,466명 심판: 말랑 디에디우 (세네갈) |
페르통언 ![]() 펠라이니 ![]() 샤들리 ![]() | 리포트 | 하라구치 ![]() 이누이 ![]() |
2018년 7월 3일 17:00 MSK (UTC+3) | |||
스웨덴 ![]() | 1 – 0 | ![]() | 크레스톱스키 경기장,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64,042명 심판: 다미르 스코미나 (슬로베니아) |
포르스베리 ![]() | 리포트 |
2018년 7월 3일 21:00 MSK (UTC+3) | |||
콜롬비아 ![]() | 1 – 1 (연장전) | ![]() | 옷크리티예 아레나, 모스크바 관중수: 44,190명 심판: 마크 가이거 (미국) |
미나 ![]() | 리포트 | 케인 ![]() |
승부차기 | |||
팔카오 ![]() 콰드라도 ![]() 무리엘 ![]() 우리베 ![]() 바카 ![]() | 3 – 4 | ![]() ![]() ![]() ![]() ![]() |
8강전[편집]
2018년 7월 6일 17:00 MSK (UTC+3) | |||
우루과이 ![]() | 0 – 2 | ![]() | 니즈니노브고로드 경기장, 니즈니노브고로드 관중수: 43,319명 심판: 네스토르 피타나 (아르헨티나) |
리포트 | 바란 ![]() 그리즈만 ![]() |
2018년 7월 6일 21:00 MSK (UTC+3) | |||
브라질 ![]() | 1 – 2 | ![]() | 카잔 아레나, 카잔 관중수: 42,873명 심판: 밀로라드 마지치 (세르비아) |
아우구스투 ![]() | 리포트 | 페르난지뉴 ![]() 더 브라위너 ![]() |
2018년 7월 7일 18:00 SAMT (UTC+4) | |||
스웨덴 ![]() | 0 – 2 | ![]() | 코스모스 아레나, 사마라 관중수: 39,991명 심판: 비외른 카위퍼르스 (네덜란드) |
리포트 | 매과이어 ![]() 알리 ![]() |
2018년 7월 7일 21:00 MSK (UTC+3) | |||
러시아 ![]() | 2 – 2 (연장전) | ![]() | 피시트 올림픽 경기장, 소치 관중수: 44,287명 심판: 산드루 히시 (브라질) |
체리셰프 ![]() 페르난지스 ![]() | 리포트 | 크라마리치 ![]() 비다 ![]() |
승부차기 | |||
스몰로프 ![]() 자고예프 ![]() 페르난지스 ![]() 이그나셰비치 ![]() 쿠자예프 ![]() | 3 – 4 | ![]() ![]() ![]() ![]() ![]() |
준결승전[편집]
2018년 7월 10일 21:00 MSK (UTC+3) | |||
프랑스 ![]() | 1 – 0 | ![]() | 크레스톱스키 경기장,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64,286명 심판: 안드레스 쿠냐 (우루과이) |
움티티 ![]() | 리포트 |
2018년 7월 11일 21:00 MSK (UTC+3) | |||
크로아티아 ![]() | 2 – 1 (연장전) | ![]() | 루즈니키 경기장, 모스크바 관중수: 78,011명 심판: 쥐네이트 차크르 (터키) |
페리시치 ![]() 만주키치 ![]() | 리포트 | 트리피어 ![]() |
3위 결정전[편집]
2018년 7월 14일 17:00 MSK (UTC+3) | |||
벨기에 ![]() | 2 – 0 | ![]() | 크레스톱스키 경기장, 상트페테르부르크 관중수: 64,406명 심판: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뫼니에 ![]() 아자르 ![]() | 리포트 |
결승전[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2018년 7월 15일 18:00 MSK (UTC+3) | |||
프랑스 ![]() | 4 – 2 | ![]() | 루즈니키 경기장, 모스크바 관중수: 78,011명 심판: 네스토르 피타나 (아르헨티나) |
만주키치 ![]() 그리즈만 ![]() 포그바 ![]() 음바페 ![]() | 리포트 | 페리시치 ![]() 만주키치 ![]() |
우승[편집]
2018년 FIFA 월드컵 |
---|
![]() 프랑스 2번째 우승 |
통계[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득점자[편집]
- 6골
- 4골
- 3골
- 2골
- 1골
- 자책골
|
도움 기록[편집]
- 2도움
- 1도움
팀 득점 기록[편집]
- 16골
- 14골
- 12골
- 11골
- 8골
- 7골
- 6골
- 5골
- 4골
- 3골
- 2골
팀 실점 기록[편집]
- 11실점
- 9실점
- 8실점
- 7실점
- 6실점
- 5실점
- 4실점
- 3실점
- 2실점
징계[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수상[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상 | 수상자 |
---|---|
골든 볼 | |
골든 슈 | |
골든 글러브 | |
최우수 신인 선수상 | |
FIFA 페어 플레이 트로피 |
드림팀[편집]
골키퍼 | 수비수 | 미드필더 | 공격수 | 감독 |
---|---|---|---|---|
상금[편집]
- $8M - 조별 리그 탈락국 (16개국)
- $12M - 16강 탈락국 (8개국)
- $16M - 8강 탈락국 (4개국)
- $22M - 4위
- $24M - 3위
- $28M - 준우승국
- $38M - 우승국
최종 순위[편집]
결승전 이후, FIFA는 대회에 참가한 국가들의 최종 순위를 발표하였다. 순위는 대회에서 진출한 라운드, 전체적 결과와 상대와의 결과 비교를 반영한 것이다. 모든 32개국의 순위는 FIFA의 조건에 따라 나열되었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참고: 축구의 통계적인 법칙에 따라 연장전에서 승부가 난 경기는 똑같이 승패로 간주되지만, 승부차기를 통해 승부가 난 경기는 무승부로 간주된다.[48]
순 | 팀 | 조 | 전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점 |
---|---|---|---|---|---|---|---|---|---|---|
1 | ![]() | C | 7 | 6 | 1 | 0 | 14 | 6 | +8 | 19 |
2 | ![]() | D | 7 | 4 | 2 | 1 | 14 | 9 | +5 | 14 |
3 | ![]() | G | 7 | 6 | 0 | 1 | 16 | 6 | +10 | 18 |
4 | ![]() | G | 7 | 3 | 1 | 3 | 12 | 8 | +4 | 10 |
8강전에서 탈락 | ||||||||||
5 | ![]() | A | 5 | 4 | 0 | 1 | 7 | 3 | +4 | 12 |
6 | ![]() | E | 5 | 3 | 1 | 1 | 8 | 3 | +5 | 10 |
7 | ![]() | F | 5 | 3 | 0 | 2 | 6 | 4 | +2 | 9 |
8 | ![]() | A | 5 | 2 | 2 | 1 | 11 | 7 | +4 | 8 |
16강전에서 탈락 | ||||||||||
9 | ![]() | H | 4 | 2 | 1 | 1 | 6 | 3 | +3 | 7 |
10 | ![]() | B | 4 | 1 | 3 | 0 | 7 | 6 | +1 | 6 |
11 | ![]() | C | 4 | 1 | 3 | 0 | 3 | 2 | +1 | 6 |
12 | ![]() | F | 4 | 2 | 0 | 2 | 3 | 6 | −3 | 6 |
13 | ![]() | B | 4 | 1 | 2 | 1 | 6 | 6 | 0 | 5 |
14 | ![]() | E | 4 | 1 | 2 | 1 | 5 | 5 | 0 | 5 |
15 | ![]() | H | 4 | 1 | 1 | 2 | 6 | 7 | −1 | 4 |
16 | ![]() | D | 4 | 1 | 1 | 2 | 6 | 9 | −3 | 4 |
조별 리그에서 탈락 | ||||||||||
17 | ![]() | H | 3 | 1 | 1 | 1 | 4 | 4 | 0 | 4 |
18 | ![]() | B | 3 | 1 | 1 | 1 | 2 | 2 | 0 | 4 |
19 | ![]() | F | 3 | 1 | 0 | 2 | 3 | 3 | 0 | 3 |
20 | ![]() | C | 3 | 1 | 0 | 2 | 2 | 2 | 0 | 3 |
21 | ![]() | D | 3 | 1 | 0 | 2 | 3 | 4 | −1 | 3 |
22 | ![]() | E | 3 | 1 | 0 | 2 | 2 | 4 | −2 | 3 |
![]() | F | 3 | 1 | 0 | 2 | 2 | 4 | −2 | 3 | |
24 | ![]() | G | 3 | 1 | 0 | 2 | 5 | 8 | −3 | 3 |
25 | ![]() | H | 3 | 1 | 0 | 2 | 2 | 5 | −3 | 3 |
26 | ![]() | A | 3 | 1 | 0 | 2 | 2 | 7 | −5 | 3 |
27 | ![]() | B | 3 | 0 | 1 | 2 | 2 | 4 | −2 | 1 |
28 | ![]() | C | 3 | 0 | 1 | 2 | 2 | 5 | −3 | 1 |
![]() | D | 3 | 0 | 1 | 2 | 2 | 5 | −3 | 1 | |
![]() | E | 3 | 0 | 1 | 2 | 2 | 5 | −3 | 1 | |
31 | ![]() | A | 3 | 0 | 0 | 3 | 2 | 6 | −4 | 0 |
32 | ![]() | G | 3 | 0 | 0 | 3 | 2 | 11 | −9 | 0 |
대회 이모저모[편집]
조별 리그[편집]
- 이번 조별 리그에서는 프랑스-호주, 크로아티아-나이지리아, 모로코-이란, 러시아-이집트, 폴란드-세네갈, 스웨덴-멕시코, 파나마-튀니지 경기에서 자책골이 총 7번 나오는 결과가 나왔다.
- 아르헨티나-아이슬란드, 페루-덴마크, 아이슬란드-나이지리아, 포르투갈-이란 경기에서는 총 4번 페널티킥을 실축하는 기록이 나왔다.
- 세르비아-코스타리카 경기에서 세르비아의 "우아하다"고 표현되고 있는 슈팅이 2번 나왔는데[49] 이 중의 하나가 골로 연결되었다.[50] 그리고 벨기에-파나마와의 경기에서도 벨기에의 선제골이 아주 기가 막히게 들어갔다[51].
- 잉글랜드-튀니지, 포르투갈-이란, 스페인-모로코, 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 독일-스웨덴, 대한민국-독일 등의 경기에서는 잉글랜드, 이란, 스페인, 사우디아라비아, 독일, 대한민국이 모두 90분 정규시간이 모두 끝나고 추가시간에 넣는 골을 넣었다. 특히 코스타리카-브라질, 대한민국-독일과의 경기에서 0:0으로 팽팽하던 경기가 90분 정규시간이 모두 끝나고 추가시간에 들어서 각각 브라질과 대한민국이 두 골이나 넣는 이변이 발생했다. 90분이 다 끝나고 추가시간에 들어서 2골이나 넣는 일은 FIFA 월드컵 사상 최초이다.
- 사우디아라비아가 0대5로 러시아에게 대패하자 카타르가 다음 FIFA 월드컵에서 제외시키겠다는 얘기가 나왔다[52]. 실제로 사우디아라비아는 1998년 FIFA 월드컵에서 프랑스에게 0-4,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독일에게 0-8, 2006 FIFA 월드컵에서 우크라이나에게 0-4로 각각 패하는 등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기만 하면 최소 1개팀에게는 큰 점수를 내주고 대패를 당했는데 이번 대회에도 예외는 없었다.
- 대한민국은 피파 랭킹 1위이자 디펜딩 챔피언 독일을 2-0으로 잡아내는 이변을 일으키며 2002년 FIFA 월드컵 준결승에서의 0-1 패배를 설욕했다. 동시에 역대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독일을 상대로 승리를 거둔 최초의 아시아 국가'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16강에 진출하려면 대한민국과의 F조별리그경기에서 두번째골의 명백한 오심으로 승리를 챙긴 멕시코가 스웨덴을 이겨야 하는데 도리어 스웨덴이 3-0으로 이기는 바람에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월드컵 본선무대에서 독일, 스페인, 이탈리아와 같은 월드컵 우승국에 승리를 이어가며 아시아 최강으로서의 자존심을 지켰다.
- 일본은 콜롬비아가 경기시작 직후 핸드볼 반칙으로 페널티킥과함께 1명이 퇴장하는 행운에 힘입어 2-1이라는 기적적인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일본은 폴란드와의 경기 후반전에 0-1 지고있는 상황에서 페어플레이 포인트로 16강진출을 하기위해 관중의 야유속에 볼을 돌리는 언페어플레이로 전세계 매스컴의 비난을 받으며 불명예스럽게 16강에 진출했다.[53] 2018 FIFA 월드컵 일본과 폴란드의 경기는 1982년 FIFA 월드컵 서독과 오스트리아의 경기와 함께 역대월드컵중 최악의 경기로 평가되었다. 반면 아쉽게 H조별리그를 통과하지못한 같은 승점의 세네갈은 마지막까지 투혼을 불태우는 축구로 전세계인의 찬사를 받았다.
- 포르투갈의 호날두 선수는 스페인에 이어 모로코와의 경기에서도 골을 잇따라 넣으면서 포르투갈을 구원했다.
- 잉글랜드는 이번 FIFA 월드컵 경기에서 여섯 골을 몰아붙여 대승을 거뒀고, 추가로 해리 케인은 해트트릭까지 기록하였다. 아울러, 이 경기에서 파나마도 FIFA 월드컵 최초로 첫 골을 기록하였다.
- 멕시코는 올해 월드컵에서도 16강에 진출하면서 7회 연속 16강 진출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더구나 멕시코는 마지막 조별리그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독일을 꺾어준 덕에 16강에 갔기 때문에 한국을 수호신으로 여겼다. 한편, 16강에 미리 진출했던 브라질도 대한민국이 독일을 꺾은 일을 통쾌해하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2014년 FIFA 월드컵에서 브라질이 독일을 상대로 1:7로 크게 진 수치가 있기 때문이다.
- 조별리그 2차전까지 치른 결과 16강 진출에 확정된 팀 6팀(러시아, 벨기에, 우루과이, 잉글랜드, 크로아티아, 프랑스), 16강 진출에 확실한 팀 1팀(멕시코), 16강 진출에 유력한 팀 7팀(덴마크, 브라질, 세네갈, 스위스, 스페인, 일본, 포르투갈)이 나왔으며, 탈락이 확정된 팀은 8팀(모로코,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코스타리카, 튀니지, 파나마, 페루, 폴란드)이다.
- 지난 번 조추첨 때, 포트 1에 소속된 팀 중 2팀이 16강에 진출에 실패했다.
토너먼트[편집]
- 러시아는 스페인와 1:1로 비겨 결국에는 승부차기 끝에 이고리 아킨페예프 골키퍼가 두 번이나 막아내면서 1982년 이후 무려 36년만에 8강 진출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 FIFA 월드컵에서 승부차기를 두 번 막은 일은 스페인이 이케르 카시야스가 2002년 FIFA 월드컵 때에 아일랜드와의 경기가 대표적이였다. 그리고 스페인의 경우는 16년 전에 대한민국에게 8강에서 승부차기로 탈락한 바 있는데 이번에도 승부차기에서 패배하며 8강 진출이 좌절되었다. 이로써 스페인은 역대 월드컵 개최국을 상대로 3무 2패의 부진한 성적을 이어가며 개최국 징크스를 깨는데 실패했다.
- 크로아티아-덴마크의 경기도 1:1로 비겨 결국 승부차기로 갔는데 양쪽 모두 골을 못 넣은 원인은 모두 골키퍼의 선방이었다. 그 중에서도 크로아티아 골키퍼 다니엘 수바시치가 순식간에 3번을 막아내는 발군을 보였으며 이케르 카시야스가 2번을 막는 선방보다 더 많은 선방을 갱신했다. 덴마크 역시 골키퍼 카스페르 슈마이켈이 2번을 막는 선방을 보였으나 결국 덴마크는 패했고 크로아티아가 8강에 올라갔다.
- 덴마크의 마티아스 예르겐센이 이번 월드컵 때 경기 시작 58초만에 골을 터뜨렸다.
- 아르헨티나는 세르히오 로메로의 부상으로 인한 엔트리 탈락 때문에 골키퍼에 대해 고질적인 문제점을 드러냈으며 조별리그 크로아티아전부터 비롯된 이 문제점이 결국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결국 발목을 잡았다. 아르헨티나는 이 경기에서 3골을 넣어 월등한 공격력을 보여줬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에게 단 10분만에 3골을 내주는 미네이랑의 비극과 동일한 일을 자초해 결국 8강 진출에 실패했다.
- 일본-벨기에에서는 일본이 하라구치 겐키와 이누이 다카시가 나란히 골을 터뜨리면서 앞서갔으나 벨기에가 후반 24분 얀 베르통언이 만회골을 넣었고 29분 마루앙 펠라이니가 동점골을 터뜨렸으며 90분 추가시간까지 모두 끝나기 직전에 나세르 샤들리가 극적인 역전골을 넣으면서 연장전 갈 기회조차 주지 않은 채 일본을 탈락시켰다. 특히 벨기에의 베르통언의 첫번째 헤딩골이 그냥 골문으로 들어가는 환상적인 상황이 벌어졌다[54]. 그리고 일본의 골키퍼 가와시마 에이지도 2번이나 슈퍼세이브를 하는 발군의 실력도 보였다[55].
- 콜롬비아-잉글랜드 경기는 잉글랜드가 후반 12분 해리 케인이 먼저 선제골을 넣은 후에 90분 동안 조만간 승부가 될 듯하는 순간, 추가시간 2분 30초 무렵에 콜롬비아의 예리 미나의 극적인 동점골이 터지면서 연장전으로 몰고 갔다. 그러나 이후 한번도 승부가 나지 않아 승부차기에 들어가야 했다. 콜롬비아 골키퍼 다비드 오스피나가 첫번째로 잉글랜드 키커인 조던 헨더슨의 슛을 막았으나, 콜롬비아의 4번째 키커인 마테우스 우리베가 때린 슛이 크로스바 하단을 맞고 나갔고 5번째인 키커인 카를로스 바카의 슛은 잉글랜드 골키퍼 조던 픽퍼드의 선방에 막히면서 잉글랜드가 12년만에 다시 8강에 진출했다.
- 러시아-크로아티아 8강전은 2:2로 서로 비겨 결국 승부차기로 돌입했는데 이번 FIFA 월드컵 주인이었던 러시아가 2번 실축하는 바람에 탈락하고 말았다. 크로아티아는 20년만에 준결승에 올라갔다.
- 브라질은 벨기에에게 패하면서 8강에서 탈락하고 말았고 이로써 벨기에는 32년만에 비로소 준결승에 올라갔다. 한편 이 경기에서 벨기에는 브라질보다는 한 수 아래라는 평가였는데도 브라질을 2:1로 이기는 이변을 일으켰다.
- 4강은 프랑스, 벨기에, 잉글랜드, 크로아티아가 진출해서 월드컵의 열기가 완전히 식었다. 애당초 흥행팀인 리오넬 메시의 아르헨티나,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포르투갈은 물론 팀의 인기가 높은 축에 속하는 스페인, 브라질이 4강에 단 한팀도 올라가지 못했고 애초에 리오넬 메시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국가대표로서의 맞대결을 월드컵에서 기대하고 있던 팬들이 실망해 월드컵을 외면했다.
- 크로아티아가 잉글랜드를 연장 접전 끝에 2-1로 누르고 FIFA 월드컵 최초로 결승에 진출했다. 이로써 잉글랜드는 1966년 이후 52년만에 결승 진출에 실패하였다.
- 이번 월드컵 3·4위전을 치른 두 팀은 모두 G조 출신이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는 벨기에가 잉글랜드를 이기고 FIFA 월드컵 최초로 3위를 기록하였다.
- 결승전에서는 프랑스가 우승을 차지했다. 그리고 크로아티아는 4-1로 패할 때에 프랑스의 실책으로 인해 두 번째 골을 넣었는데, 크로아티아의 두번째 골은 어느 축구 현상에서도 거의 불가능한 상황의 골이었다.
기타 대회 전반[편집]
- 통상적인 러시아의 비자 정책은 FIFA 월드컵에 참가하는 선수단과 팬들에게 적용되지 않을 예정이며, 그에 따라 시민권과 상관 없이 대회 기간 및 전후에 러시아를 비자 없이 방문할 수 있게 된다.[56]
- 다른 대회에 비해 유난히 자책골, 패널티킥, 승부차기가 많이 나왔고 그로 인해 골키퍼가 중요한 대회가 되었다.
중계권[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마케팅[편집]
마스코트[편집]
2018년 FIFA 월드컵 대회의 공식 FIFA 월드컵 마스코트는 늑대 "자비바카" (Забива́ка, 러시아어로 "득점자"를 뜻함) 로 2016년 10월 21일에 공개되었다. 이 마스코트는 투표를 통해 최종 3마리의 마스코트들 중에서 선정되었고, 늑대가 53%를 득표해 호랑이 (27%) 와 고양이 (20%) 를 제쳤다.[57]
주제곡[편집]
이번 FIFA 월드컵 주제곡은 폴리나 가가리나, 이고르 크리드, DJ 스매시의 Team 2018이다. 원어는 러시아어이며 2017년 7월 2일에 뮤직비디오를 촬영했다. 노래 길이는 3분 42초이다.
공인구[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2018년 FIFA 월드컵 대회의 공인구는 텔스타 18로, 2017년 11월 9일에 모스크바에서 일반 대중들에게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또한 결선 토너먼트부터는 새로운 디자인의 '텔스타 메치타'를 사용하였다.
스폰서십[편집]
2018년 FIFA 월드컵 후원업체들은 4개 분류로 나뉜다; FIFA 파트너, FIFA 월드컵 스폰서, 유럽(러시아 포함) 서포터, 아시아(중동 제외)-대양주 서포터[58]
FIFA 파트너 | FIFA 월드컵 스폰서 | 아프리카 서포터 | 아시아-오세아니아 서포터 | 유럽 서포터 |
---|---|---|---|---|
논란[편집]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16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유치의 경우처럼 러시아의 대회 개최에 이의가 제기되었다. 논란의 도마에 오른 대상으로는 러시아 축구계의 심각한 인종 차별 문제[78][79] 와 러시아 사회 내의 성소수자 차별 문제가 있었다.[80][81]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분쟁 개입은 영미 정치인으로 하여금 대회 개최지를 이동하자는 주장을 제기했는데, 특히 크림 공화국 합병 이후로 이 주장이 고조되었다.[82][83] 제프 블라터 FIFA 회장은 "FIFA 월드컵은 러시아에서 열리기로 결정되었고, 우리는 앞으로 그러할 것이다."라고 위와 상반된 의견을 보냈다.[84]
2018년 및 2022년 FIFA 월드컵 유치 경쟁 과정에서 부정부패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잉글랜드의 축구 협회는 대회 참가를 반대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85] FIFA는 미국의 변호사 마이클 J. 가르시아를 내정해 부정부패 주장에 대한 보고서 조사 (가르시아 보고서) 를 하도록 했다. 보고서는 출판되지 않았지만, FIFA는 독일 판사 하나스요아힘 에케르트에 수사된 내용을 담은 42쪽짜리 요약본을 공개했다. 에케르트는 러시아와 카타르의 혐의를 부인한다는 내용을 담았지만, 대중은 이 행위를 눈가리고 아웅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86] 가르시아는 요약본이 "실질적인 내용이 부실하다"고 비난했고, "왜곡된 정보와 결론의 모음집"이라 덧붙였고, FIFA 항소위원회에 항소를 보냈다.[87][88] 위원회는 그의 항소를 거절했고, 가르시아는 이에 대응해 FIFA의 조사위원회원 지위를 내려놓았고, "지도력이 부족하다" 평했고, 에케르트의 독립성에 자신감이 없다고 덧붙였다.[89]
2015년 6월 3일, FBI의 연방 당국은 2018년과 2022년 FIFA 월드컵의 유치 경쟁을 수사했다고 보고했다.[90][91]
2015년 6월 7일 도메니코 스칼라 FIFA 청문 및 준수 위원회원이 발췌한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카타르가 매수로 투표에서 승리했다는 증거가 있다면, 대회 유치권은 취소될 수 있다"고 말했다.[92][93]
러시아에 닥친 경제 위기로, 대회 준비 예산이 몇 차례 삭감되었다. 2015년 6월, 러시아 정부는 대회 예산을 기존보다 $5.6억 삭감한 $118억으로 책정했다.[94]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이동 ↑ 표준 러시아어 발음으로는 [tɕɪmʲpʲɪɐˈnat ˈmʲirə pə fʊdˈbolʊ dʲvʲɪ ˈtɨsʲɪtɕɪ vəsʲɪmˈnatsətʲ]로 발음한다.
- ↑ 이동: 가 나 “Ethics: Executive Committee unanimously supports recommendation to publish report on 2018/2022 FIFA World Cup™ bidding process” (보도 자료). FIFA.com. 2014년 12월 19일.
- 이동 ↑ “Russia united for 2018 FIFA World Cup Host Cities announcement”. FIFA.com. 201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이동 ↑ “FIFA Picks Cities for World Cup 2018”. En.rsport.ru. 2012년 9월 29일. 201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이동 ↑ “Russia budget for 2018 Fifa World Cup nearly doubles”. BBC News. 2012년 9월 30일. 2013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이동 ↑ Goff, Steve (2009년 1월 16일). “Future World Cups”. 《The Washington Post》. 2009년 1월 16일에 확인함.
- 이동 ↑ “Mexico withdraws FIFA World Cup bid”. FIFA. 2009년 9월 29일. 2011년 2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Indonesia's bid to host the 2022 World Cup bid ends”. 《BBC Sport》. 2010년 3월 19일. 2010년 3월 20일에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19일에 확인함.
- 이동 ↑ “Combined bidding confirmed”. FIFA. 2008년 12월 20일. 2009년 1월 22일에 보존된 문서. 2008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이동 ↑ “England miss out to Russia in 2018 World Cup Vote 확인일자=2010년 12월 2일”. 《BBC News》. 2010년 12월 2일. 2010년 12월 3일에 보존된 문서.
- 이동 ↑ Doyle, Paul; Busfield, Steve (2010년 12월 2일). “World Cup 2018 and 2022 decision day – live!”. 《The Guardian》 (London).
- 이동 ↑ “'Russia’s heart & soul': World Cup 2018 logo unveiled in Moscow (PHOTOS, VIDEO)”. RT. 2014년 10월 28일. 201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Myanmar appeal partially upheld”. FIFA. 2011년 11월 7일. 2011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이동 ↑ “Zimbabwe expelled from 2018 World Cup”. 《BBC Sport》. 2015년 3월 12일. 2015년 3월 12일에 확인함.
- 이동 ↑ “IMPACT OF FOOTBALL ASSOCIATION OF INDONESIA SUSPENSION”. AFC. 2015년 6월 21일에 확인함.
- 이동 ↑ “FIFA World Cup™ Preliminary Draw: 1 week to go”. FIFA.com. 2015년 7월 18일.
- 이동 ↑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FIFA World Cup extends its responsibilities to cover 2018 and 2022”. FIFA.com. 2013년 3월 19일.
- 이동 ↑ “Konstantinovsky Palace to stage Preliminary Draw of the 2018 FIFA World Cup”. FIFA.com. 2014년 10월 10일.
- 이동 ↑ “2022 FIFA World Cup to be played in November/December”. FIFA.com. 2015년 3월 20일.
- 이동 ↑ “Current allocation of FIFA World Cup™ confederation slots maintained”. FIFA.com. 2015년 5월 30일.
- 이동 ↑ https://www.washingtonpost.com/world/europe/kosovo-gibraltar-join-fifa-before-2018-world-cup-qualifying/2016/05/13/37144c7a-193d-11e6-971a-dadf9ab18869_story.html
- 이동 ↑ https://www.rt.com/sport/343028-kosovo-gibraltar-fifa-members/
- 이동 ↑ “FIFA/Coca-Cola Rankings”.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8년 6월 7일. 2018년 6월 7일에 확인함.
- 이동 ↑ “UEFA chief Platini calls for 40 team World Cup”. Reuters. 2013년 10월 28일.
- 이동 ↑ “Blatter wants more Africa slots for World Cup”.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3년 10월 26일.
- 이동 ↑ “Michel Platini's World Cup expansion plan unlikely – Fifa”. BBC Sport. 2013년 10월 29일.
- 이동 ↑ “2018 World Cup expansion 'unlikely', says Valcke”. Soccerway. 2013년 10월 29일.
- 이동 ↑ “2018 FIFA World Cup Bid Evaluation Report: Russia” (PDF). FIFA. 2002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Marikar, Hafiz. “Russia to host next FIFA World Cup”. 《Dailynews.lk》. The Associated Newspapers of Ceylon Ltd. 2014년 08월 0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07월 23일에 확인함. 필요 이상의 변수가 사용됨:
|확인일자=
및|확인날짜=
(도움말); - 이동 ↑ “Почему у России осталось только 14 стадионов к ЧМ-2018 – Известия (왜 2018 러시아 월드컵에 쓰일 경기장이 14개밖에 없나?)” (러시아어). Izvestia.ru. 2011년 10월 7일. 2011년 10월 8일에 확인함.
- 이동 ↑ “2018 FIFA World Cup™ to be played in 11 Host Cities”. fifa.com. 2012년 9월 29일. 2012년 9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Saakov, Rafael (2014년 7월 22일). “Russia 2018: Major challenges for next World Cup hosts”. 《BBC News》. 2014년 7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Rogovitskiy, Dmitriy (2014년 10월 21일). “Russia on track for World Cup 2018, say FIFA inspectors”. Reuters. 2014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Stadium names for the 2018 FIFA World Cup Russia™ confirmed”. FIFA.com. 2015년 10월 8일.
- 이동 ↑ “Team Base Camps for 2018 FIFA World Cup™ confirmed”.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8년 2월 9일.
- 이동 ↑ “한국축구, 러시아월드컵 베이스캠프로 상트페테르부르크 선정”. 《중앙일보》. 2017년 12월 12일.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독일, 모스크바에 캠프…한국전도 중요”.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Russian football team picks Austria’s Neustift as training camp for 2018 FIFA World Cup”. 《TASS》 (러시아어).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한국 상대 멕시코, 베이스캠프는 모스크바”.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스웨덴 캠프, 한국전에서 1700km 떨어진 곳”.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SPOTVNEWS (2017년 12월 1일). “잉글랜드, 베이스캠프 확정…본격적인 월드컵 준비 착수”. 《SPOTVNEWS》.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Plan przygotowań biało-czerwonych do mundialu w Rosji 2018 - Reprezentacja A - PZPN - Łączy nas piłka”. 《PZPN - Łączy nas piłka》 (폴란드어). 2018년 5월 29일에 확인함.
- 이동 ↑ “Match schedules for FIFA Confederations Cup 2017 and 2018 FIFA World Cup™ unveiled”. FIFA.com. 2015년 7월 24일.
- 이동 ↑ “FIFA World Cup Russia 2018 - Match Schedule” (PDF). FIFA.com.
- 이동 ↑ “Final Draw to take place in State Kremlin Palace”. FIFA.com. 2017년 1월 24일.
- 이동 ↑ “OC for FIFA Competitions approves procedures for the Final Draw of the 2018 FIFA World Cup”. FIFA.com. 2017년 9월 14일.
- ↑ 이동: 가 나 다 “Regulations – 2018 FIFA World Cup Russia” (PDF). FIFA.com.
- 이동 ↑ “Final Tournament Standings”. FIFA.com.
- 이동 ↑ [코스타리카 vs 세르비아 우아한 슈팅! 환상적인 방어! 장군멍군 양팀]
- 이동 ↑ [코스타리카 vs 세르비아 콜라로프 득점! 나바스도 꼼짝 못한 악마의 왼발!]
- 이동 ↑ Belgium vs Panama 3-0 Highlights 2018
- 이동 ↑ 사우디 "카타르가 5-0 패배 조롱…FIFA에 제소"
- 이동 ↑ “World Cup 2018: Japan & Poland approach disgraceful - Phil Neville”. 《BBC Sport》 (영어). 2018년 6월 28일. 2018년 7월 18일에 확인함.
- 이동 ↑ [벨기에 VS 일본 기사회생! 베르통언 행운의 만회골]
- 이동 ↑ [벨기에 VS 일본 가와시마 키퍼, 두번의 슈퍼세이브!]
- 이동 ↑ “Russia to ease visa regime for World Cup fans in 2018”. Voice of Russia. 2014년 7월 11일. 2015년 6월 6일에 확인함.
- 이동 ↑ “Wolf chosen as 2018 FIFA World Cup Official Mascot and named Zabivaka™”. FIFA.com. 2016년 10월 21일.
- 이동 ↑ “2018 FIFA World Cup Russia official partners”. FIFA. 2016년 5월 1일에 확인함.
- 이동 ↑ “FIFA and adidas extend partnership until 2030”.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Coca-Cola renews Fifa football sponsorship until 2022”. 《Campaignlive.co.uk》. Campagin.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Gazprom agrees Fifa sponsorship deal”. 《SportsProMedia.com》. SportsPro.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Hyundai-Kia drives on as FIFA Partner until 2022”.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Qatar Airways announced as Official Partner and Official Airline of FIFA until 2022”.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Visa extending World Cup deal for eight years”. 《SportsBusinessDaily.com》. Sports Business Daily.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Wanda Group becomes new FIFA Partner”.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FIFA and Anheuser-Busch InBev announce FIFA World Cup™ sponsorship for 2018 / 2022”.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Hisense becomes Official Sponsor of 2018 FIFA World Cup™”.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Mengniu Group added to Fifa World Cup sponsor line-up”. 《Sportspromedia.com》. SportsPro. 2017년 12월 20일에 확인함.
- 이동 ↑ “McDonald’s looking ahead to 2018”.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Fifa agrees massive World Cup deal with Vivo”. 《SportsProMedia.com》. SportsPro. 2017년 5월 31일에 확인함.
- 이동 ↑ “Egypt government selected as regional sponsor for 2018 FIFA World Cup”. 《Egypt Independent》. 2018년 6월 13일에 확인함.
- ↑ 이동: 가 나 “More Chinese sponsors sign up for Fifa World Cup”. 《TheDrum》. TheDrum. 2018년 6월 13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6월 13일에 확인함.
- 이동 ↑ “Fifa adds latest Chinese sponsor for World Cup”. 《SportsProMedia.com》. SportsPro. 2018년 3월 14일에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5일에 확인함.
- 이동 ↑ “Alfa-Bank unveiled as first-ever Regional Supporter for the FIFA World Cup™”. 《FIFA.com》. FIFA. 2017년 5월 10일에 확인함.
- 이동 ↑ “Alrosa completes line-up of European Regional Supporters of the 2018 FIFA World Cup™”. 《FIFA.com》. FIFA.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 이동 ↑ Carp, Sam. “Fifa World Cup adds Rostelecom as regional partner”. 《SportsPro》. 2018년 3월 22일에 확인함.
- 이동 ↑ “Russian Railways announced as an Official European Supporter of the 2018 FIFA World Cup™”. 《FIFA.com》. 2018년 4월 16일에 확인함.
- 이동 ↑ Syal, Rajeev (2010년 12월 3일). “World Cup 2018 win raises Russian racism fears”. 《The Guardian》. 2011년 8월 20일에 확인함.
- 이동 ↑ “Yaya Toure: Black players may boycott 2018 Russia World Cup”. 《BBC Sport》. 2013년 10월 25일.
- 이동 ↑ J.P. McCormick (2014년 3월 25일). “Campaigns demand FIFA bans Russia from hosting 2018 World Cup due to anti-gay law”. Pink News.
- 이동 ↑ J. Lavin (2014년 2월 28일). “Why FIFA Needs to Move the World Cup”. advocate.com.
- 이동 ↑ “Fifa urged to rethink staging 2018 World Cup in Russia”. bbc.com. 2014년 3월 21일.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 이동 ↑ Winter, Stuart (2014년 3월 23일). “US calls for Fifa to drop Russia from hosting World Cup in 2018”. Express.co.uk.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 이동 ↑ “Sepp Blatter: Russia will host 2018 World Cup despite Crimea”. BBC Sport. 2014년 3월 21일. 2014년 4월 17일에 확인함.
- 이동 ↑ Ornstein, David (2014년 11월 17일). “World Cup: Former FA chief David Bernstein calls for boycott”. 《BBC Sport》. 2014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이동 ↑ Dunbar, Graham. “FIFA under fire after report on Qatar, Russia”. Associated Press. 2014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이동 ↑ Roan, Dan (2014년 11월 17일). “Greg Dyke: FA demands full report findings into World Cup corruption”. 《BBC Sport》. 2014년 11월 17일에 확인함.
- 이동 ↑ Conway, Richard. “FIFA corruption report: Who is to blame and what happens now?”. BBC Sport. 2014년 11월 14일에 확인함.
- 이동 ↑ “Michael Garcia: FIFA investigator resigns in World Cup report row”. BBC. 2014년 12월 17일.
- 이동 ↑ “Ben Rumsby, "Fifa in crisis: FBI extends investigation to Russia 2018 and Qatar 2022 World Cup bids", The Telegraph”. 2015년 6월 4일. 2015년 6월 4일에 확인함.
- 이동 ↑ “James Riach "FBI investigating Fifa’s awarding of 2018 and 2022 World Cups – report", The Guardian”. 2015년 6월 3일. 2015년 6월 4일에 확인함.
- 이동 ↑ “'Russia & Qatar may lose World Cups' - Fifa official”. BBC News. 2015년 6월 7일.
- 이동 ↑ Owen Gibson (2015년 6월 7일). “Russia and Qatar may lose World Cups if evidence of bribery is found”. The Guardian.
- 이동 ↑ Russia Orders $560-Million Cuts on World Cup 2018 Spending, 2015년 6월 22일 작성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TV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션 임파서블: 로그네이션 (0) | 2018.07.30 |
---|---|
게리 쿠퍼 (0) | 2018.07.30 |
2018 FIFA World Cup (0) | 2018.07.27 |
Tamango (0) | 2018.07.26 |
The Equalizer 2 (0) | 2018.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