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영화관

김달삼

배중진 2018. 3. 29. 01:34

김달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달삼(金達三, 1923년 ~ 1950년 3월)은 사회주의 혁명가로 제주 4·3 사건을 주도한 남조선로동당원이다.[1]

생애[편집]

김달삼의 본명은 이승진이며, 고향은 제주이며, 일본 오사카에 있는 성봉중학교와 도쿄의 중앙대학에서 수학하던중 학병으로 징집되어 일본 복지산(福知山) 육군예비사관학교를 나와 일본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1945년 1월 일본에서 강문석의 딸 강영애와 결혼하였다.김달삼이란 이름은 원래 강문석이 쓰던 가명인데 이승진은 이를 이어받아 사용한 것이다.

1946년 말 제주도 대정중학교 사회과 교사로 재직하며 마르크스-레닌주의를 가르쳤다. 그는 교사로 재직 중에 남로당 대정면 조직부장을 맡았으며 1948년 4·3 발발기에는 남로당 제주도당책이자 군사부 책임자가 되었다. 김달삼은 친일파척결, 외지경찰철수, 자주독립 및 남북 통일정부 수립 등을 요구하며 5.10 총선거를 방해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무장봉기를 일으켰다. 제주도 남로당은 당중앙의 지령 없이 독단적으로 봉기를 일으켰다.

1948년 4월 28일 김달삼과 연대장 김익렬 간의 평화협상이 열려 적대행위 중지에 합의하였으나 우익청년단의 ‘오라리 방화 사건’으로 무산되었다.

남한 정권이 수립된 직후인 1948년 8월 21일부터 26일까지 황해도 해주에서 인민대표자대회가 열렸는데 김달삼은 여기에 참가하여 '제주 4·3투쟁에 관한 보고'를 하였다. 이 해주대회는 북한 정권 수립을 위한 예비 절차로서 남한에서는 1,002명의 대의원이 참가했고, 제주에서는 6명이 참가했다. 그는 여기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위원회 헌법위원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후, 강동정치학원에서 유격대훈련을 받은후, 1949년 8월4일 강동정치학원의 4차유격대 대장으로 유격대원 300명을 이끌고 일월산 일대로 침투한다. 이후 경북 보현산에 거점을 구축한후 동해연단을 편성하여 유격전을 지휘하였다.[1][2][3]

죽음[편집]

강원도에는 긴 지명으로 알려진 ‘김달삼모가지잘린골’이라는 지명이 있다. 강원도 정선군 여량면 봉정리에 있는 지명이다. 김달삼이 이 근처에서 잡혀 목이 잘렸다하여 한자 인명을 그대로 살린 이름이다. 우측에 있는 산자락은 반론산(1068m)이다. 반론산빨치산 퇴로 중 하나였다.

제주를 탈출한 김달삼은 인민유격대 태백산 지구 김달삼부대(제3군단)를 이끌었으며 영양과 영덕 일대에서 활동했다. 결국 토벌군에 밀려 퇴각하던 중 정선군 북면 반론산에서 험난한 일생을 마감했다. 1950년 3월 20일 김달삼이 정선군 삼운리에서 국군 제185부대 수색대에 발견되었다. 공비는 반론산 동쪽을 수비하고 있던 제185부대 예하 제336부대 2중대와 접전이 되어 치열한 전투가 전개되었다.

3월 22일 전장을 정리하였는데 반론산 골짜기에 즐비한 공비시체와 그 사망자수에 따르는 무기를 노획하였으며 반론산으로부터 동북쪽 정선군내 지경리에서 김달삼의 시체를 발견하였다. 그가 소지하였던 권총 모젤1호, 용병작전에 관한 사항이 기록되어 있는 수첩 등을 압수하였다. 수첩에는 러시아어로 용병작전 정보 등이 기록되어 있었다.[1]

김달삼이 등장하는 매체[편집]

  • 드라마
MBC 주말드라마 《여명의 눈동자》(1991년) - 최상훈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

  • 「한국현대정치론」, 국군창설과 반란 및 숙군, 한배호 저, 오름(2000년, 282~286p)
  • 「제노사이드」, 또 하나의 쟁점 지역과 민족, 최호근 저, 책세상(2005년, 402~404p)


'TV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비  (0) 2018.03.29
빨치산  (0) 2018.03.29
제주 4·3 사건  (0) 2018.03.29
Blackmail (1939 film)  (0) 2018.03.21
Victim (1961 film)  (0) 2018.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