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더 해밀턴
알렉산더 해밀턴 Alexander Hamilton | |
---|---|
![]() 알렉산더 해밀턴 | |
출생 | 1755년 또는 1757년 1월 12일 영국령 서인도 제도 네비스 섬 찰스타운 |
사망 | 1804년 7월 12일 (49세) 미국 뉴욕 시 |
국적 | 뉴욕 식민지 뉴욕 주 ![]() |
학력 | 컬럼비아 대학교 |
직업 | 군인, 정치인, 재무사, 변호사 |
칭호 | 초대 미국 재무부 장관 |
칭호 기간 | 1789년 9월 11일 – 1795년 1월 31일 |
전임자 | 전임 없음 |
후임자 | 올리버 월콧 주니어 |
정당 | 연방주의자 |
종교 | 미국 성공회 |
배우자 | 엘리자베스 스카일러 해밀턴 |
서명 |
알렉산더 해밀턴(Alexander Hamilton, 1755년 혹은 1757년[1] 1월 11일 ~ 1804년 7월 12일)은 미국의 법률가이자 정치인, 재정가, 정치 사상가이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Founding Fathers) 중 한 명으로 꼽히며, 1787년 미국 헌법의 제정에 공헌했다. 초대 워싱턴 정부 시절 재무부 장관으로 재직했다. 알렉산더 해밀턴은 카리브해의 네비스 섬에서 스코틀랜드인 아버지와 위그노의 핏줄을 이어받은 어머니에게 태어났다. 조지 워싱턴과 뜻을 같이 하는 연방주의자로 토머스 제퍼슨을 비롯한 반 연방주의자와 대립하였다. 특히 토머스 제퍼슨과 많이 초기 재정 정책으로 대립했는데, 해밀턴이 독립전쟁 때의 빚을 모든 주가 공평하게 나눠 내자고 한 반면에 제퍼슨은 자신 주의 빚은 자신 주가 갚으라고 하였다. 해밀턴의 기반 지역이었던 뉴 잉글랜드는 공업 위주 지역이라 빚이 많았는데, 결국 수도를 북부인 뉴욕에서 남부와 북부 경계선 즈음에 위치한 워싱턴 D.C로 옮기고 모든 빚을 나눠 갚는다는 절충안을 내놓았고 제퍼슨이 이를 수용하게 된다. 제퍼슨과는 1791년 미국 제1 은행 설립 당시에도 큰 마찰을 빚었는데, 제퍼슨은 은행 설립에 반대했으나 해밀턴은 수정헌법을 근거로 설립을 주장했고, 당시 대통령 워싱턴이 해밀턴의 주장을 들어줌으로서 아메리카 합중국 은행을 설립하게 된다. 이 당시 제퍼슨은 "왕당주의"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워싱턴이 정계에서 물러난 뒤 연방주의자당은 애덤스 파와 해밀턴 파로 나뉘게 되고, 결국 1800년 대통령 선거에서 제퍼슨에게 대통령을 내주고 의회마저 장악당하게 된다.
18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두려워하는 에런 버 대신 토머스 제퍼슨을 대통령으로 만드는 것을 도와주기도 했으나 1804년 당시 부통령 에런 버와 결투를 벌이다 버에게 살해당했다. 사후 달러화 인물 중 대통령이 아닌 인물은 알렉산더 해밀턴(10달러)과, 벤저민 프랭클린(100달러) 두 명뿐이다.
캐리비언에서의 어린 시절[편집]
알렉산더 해밀턴은 리워드 제도 네비스 섬의 수도인 찰스타운에서 태어났다. 네비스는 영국 서인도 제도 중에 하나이다. 해밀턴은 프랑스 위그노 후손인 레이첼 포셋과 스코틀랜드 출신인 제임스 해밀턴 사이에서 태어났다.
해밀턴의 어머니는 어린 해밀턴을 데리고 버진 제도에 있는 세인트크로이 섬으로 이주했는데, 당시 세인트크로이는 덴마크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해밀턴의 출생년도가 1757년인지 1755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해밀턴이 북아메리카에 도착한 이후 대부분의 역사적 증거들은 해밀턴이 1757년에 태어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하지만 1930년대 덴마크에서 해밀턴의 캐리비언 제도에서의 어린 시절에 대해 처음 발간된 기록에서는 1755년생으로 보고 있다. 해밀턴은 13개 식민지에 처음 도착했을 때 출생년도를 1757년으로 기입했다.
교육[편집]
1772년 가을에 해밀턴은 뉴저지 주 엘리자베스타운에 있는 그래머 스쿨인 엘리자베스타운 아카데미에 도착한다.
재무장관[편집]
1789년 9월 11일 조지 워싱턴 대통령은 초대 재무장관으로 해밀턴을 지명한다. 1795년 1월 마지막 날 해밀턴은 사임한다. 의회의 구성과 활동을 필두로 미국 정부의 대부분이 이 5년 동안 구축된다.
결투[편집]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Crystal_Clear_app_xmag.svg/24px-Crystal_Clear_app_xmag.svg.png)
알렉산더 해밀튼은 에런 버로부터 1804년 7월 11일에 결투를 신청받았다. 결투로 아들을 잃은 적이 있는 알렉산더 해밀턴의 입장에서는 결투를 원치 않았으나 자신의 명예 때문에 억지로 결투를 승낙했다. 그 당시 뉴욕주의 법은 결투를 금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알렉산더 해밀턴과 애런 버는 강을 건너서 결투가 허가된 지역인 뉴저지 주의 위호켄 외곽의 허드슨 강변 바위절벽 아래로 이동한 뒤 그 곳에서 결투를 벌였다. 결과는 애런 버가 승리하였고 패배한 알렉산더 해밀턴은 다음날 사망했다.
사상[편집]
해밀턴은 영국의 귀족주의를 열렬히 찬미하고 숭배하였으며, 민주주의가 국민들의 변덕과 감정적이고 충동적인 분위기에 의해 좌우되는 통치라고 이해하였다.[2][3] 동료인 제임스 매디슨과 달리, 미국 상원을 국민의 대표가 아니라, 귀족의 대표라고 보았다.[2]
'미국,캐나다 동부 10·26~10·31·2014'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sque du Petit-Champlain (0) | 2020.09.22 |
---|---|
Korean War Veterans Memorial (0) | 2020.06.26 |
Jacques Cartier (0) | 2016.11.21 |
Alexander Hamilton (0) | 2014.10.31 |
맨해튼의 야경 (0) | 201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