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8·26 ~ 10·7·2015

송광사

배중진 2015. 9. 10. 03:33

송광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순천 송광사
(順天 松廣寺)
대한민국 대한민국사적
Korea-Songgwangsa-01.jpg
대웅보전
지정번호 사적 제506호
(2009년 12월 21일 지정)
소재지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12
좌표 북위 35° 00′ 08″ 동경 127° 16′ 34″ / 북위 35.002183° 동경 127.276136° / 35.002183; 127.276136
조계산 송광사·선암사 일원
(曹溪山 松廣寺 仙岩寺 一圓)
대한민국 대한민국명승
지정번호 명승 제65호
(2009년 12월 9일 지정)
조계산송광사·선암사일원
대한민국 대한민국사적및명승
지정번호 사적및명승 제8호
(1998년 12월 23일 지정)
(2009년 12월 9일 해지)
승주송광사선암사일원
대한민국 대한민국명승
지정번호 명승 제5호
(1975년 9월 2일 지정)
(1998년 12월 23일 해지)
송광사
대한민국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지정번호 문화재자료 제43호
(1984년 2월 29일 지정)
(1998년 12월 23일 해지)
v  d  e  h한국 불교5대 총림 (빨간색은 삼보종찰)


좌표: 북위 35° 00′ 08″ 동경 127° 16′ 34″ / 북위 35.002183° 동경 127.276136° / 35.002183; 127.276136 송광사(松廣寺)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조계산 북쪽 기슭에 자리잡은 절로서, 합천 해인사(법보사찰), 양산 통도사(불보사찰)와 더불어 한국 삼보사찰로 불리고 있다.[1] 신라 말엽에 혜린대사가 작은 암자를 짓고 길상사라 부르던 것을 시작으로 보조국사 지눌이 정혜사를 이곳으로 옮겨와 수도, 참선 도량으로 삼은 뒤부터 승보사찰이 되었다. 지눌, 진각을 비롯한 16국사를 배출하였다.

외국 승려가 수도하는 국제선원이 있다.

 

 

주요 문화재[편집]

목조문화재가 많은 사찰로 경내에는 약 80여 동의 건물과 부도·비석 등이 있다. 16국사의 영정을 봉안하는 국사전 등의 국보 4점을 비롯하여 하사당, 약사전, 영산전 등 보물 13점, 천연기념물인 쌍향수 등 국가문화재 17점과 정혜국사사리합 등 지방문화재 10점을 포함, 모두 27점의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다.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에 승보전과 지장전이 자리하고 있어 장엄한 기상을 나타낸다.

국보[편집]

  •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順天 松廣寺 木彫三尊佛龕:국보 제42호)
  • 혜심고신제서(惠諶告身制書:국보 제43호)
  • 순천 송광사 국사전(順天 松廣寺 國師殿, 국보 제56호) : 정면 4칸, 측면 2칸, 단층 맞배지붕으로 주심포집이다. 조선 초기(1400년대) 주심포 건물로 내부 전체에 걸쳐 우물천장이 가설되었으며 주두(柱頭)에 벽면으로 뻗는 행공첨차 형태의 집이다.건물의 단청은 건립 당시의 것으로 추정되며 천장의 연화문, 대들보의 용문 등은 보기 힘든 당시의 단청문양으로서 현재 16국사진영을 봉안하고 있다.
  • 순천 송광사 화엄경변상도(順天 松廣寺 華嚴經變相圖, 국보 제314호)

보물[편집]

천연기념물[편집]

사진[편집]

'한국 8·26 ~ 10·7·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도  (0) 2015.09.11
향일암  (0) 2015.09.10
낙안읍성  (0) 2015.09.10
순천만  (0) 2015.09.09
순천만국가정원  (1)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