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영화관

자폐 장애

배중진 2019. 9. 26. 12:14

자폐 장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폐증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Entete médecine.png
자폐증
물건을 반복적으로 쌓아올리는 것은 자폐증을 가진 아이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행동이다.
물건을 반복적으로 쌓아올리는 것은 자폐증을 가진 아이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행동이다.
ICD-11 6A02
ICD-10 F84.0
ICD-9 299.00
질병DB 1142
MeSH D001321
MedlinePlus 001526
OMIM 209850

자폐성 장애(自閉障碍) 또는 자폐증(自閉症)이란 의사 소통의 문제와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의 특징을 보이는 발달 장애이다. 이 증상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몇몇 연구자들은 정서적인 원인이 아닌 유전적 발달 장애로 추측하고 있다. 종종 이 병에 대해 명확하게 분류를 한 미국의 정신과 의사인 리오 카너의 이름을 따서 카너 증후군(영어: Kanner's Syndrome)이라고도 하는 데, 보통 '카너 증후군'이라고 하면, 이 병의 하위 분류들인 아스퍼거 증후군고기능 자폐증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폐 사례를 가리킨다.

역사[편집]

자폐의 영어 단어인 "autism"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자신"을 뜻하는 "αυτος (autos)"에서 유래된 말로, 오이겐 블로일러(Eugen Bleuler)라는 정신과 의사가 1912년에 《미국 정신 이상 잡지》에 게재한 글에 처음 쓰였다.

이 병을 명확히 분류한 사람은 존스 홉킨스 의과대학리오 카너이다. 그는 1943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두드러진 공통적 행동을 가진 11명의 유아 환자들을 기술했고, 이들의 증상을 조기 영아 자폐증이라고 이름 붙였다.

비슷한 시기에, 한스 아스퍼거라는 오스트리아 과학자가 다른 종류의 자폐증을 발견하였다. 이 증상은 현재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스퍼거의 업적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하여 널리 알려지지 못했고 그의 논문은 50년 가까이 지나서야 영어로 번역되었다.

현재 이 두 증후군은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SM-IV-TR)에서 다섯 가지의 전반적 발달장애 중 두 가지로 분류한다.

2013년 기준으로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표한 정신장애 분류 체계(DSM-5)에 의하면 자폐증상은 신경발달장애의 일종인 자폐 스팩트럼 장애로 통합되었고, ICD-11에서도 통합이 예정되어 있으나, 학계에서는 앞으로도 자폐와 고기능성 자폐, 아스퍼거 증후군이 분리돼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폐 장애 분류[편집]

우리가 통상적으로 언급하는 자폐증은 현재 자폐성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자폐 범주성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라고 부르며, 이 장애는 학계에서 3가지 정도로 나뉘어 논의된다. 첫째로는 레오 카너가 정의한 아동을 부르는 자폐증(Autism; Kanner's Syndrome), 둘째로는 한스 아스퍼거가 논의한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s Syndrome),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서번트 증후군(Savant Syndrome)을 포함한 고기능성 자폐증(High Functional Autism)이다. 다만 서번트 증후군은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장애는 아니며, 고기능 자폐증과 아스퍼거 증후군이 서로 구분이 가능한 정신질환인지의 여부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있다.

증상[편집]

환자 개개인의 자폐 행동에는 큰 차이가 있고 의사들은 어떠한 증상에 대해 서로 다른 결론을 내릴 때가 많다. 이러한 원인은 대부분 자폐 당사자들의 감각 기관이 일반인의 기관과는 큰 차이가 있는데, 개개인의 감각 차이가 다 달라 일정한 치료 방식이 모든 자폐아동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출처 필요].

사회적 성장[편집]

성장하는 아기들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을 응시하거나 목소리를 주목하거나 손가락을 움켜쥐거나 웃음을 보이는 등의 사회적 활동을 보인다. 하지만 자폐 증상이 있는 아기는 얼굴을 마주 보는 것을 싫어하고, 인간 사회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것에 굉장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인다. 태어난 지 몇 달이 지나지 않아도 자폐를 가진 아기는 보통의 아기에 비하여 눈을 마주보는 것이나 상호작용하는 것을 거부하며 이것은 다른 사람에게의 무관심으로 비칠 수 있다.

자폐 증상이 있는 아이는 다른 친구들과 떨어져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서 평온을 얻지 못하고, 부모의 감정 표현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들은 부모에 애정이 없는 것이 아니지만 그들 자신의 감정을 나타내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들은 남들과 소통하기 어려워하기도 한다.

의사 소통[편집]

일반적인 아기들이 첫 생일 즈음에 단어들을 말하고, 자신의 이름을 부르면 반응하고 장난감을 원하면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등의 행동을 하는 반면, 자폐 증상이 있는 아기는 의사 소통 발달에서 다른 길을 선택한다. 몇몇은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이 늦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자폐를 가진 사람이 지능이 낮다는 뜻은 아니다. 적절한 수단을 제공해 준다면 이들은 매우 활발하게 이야기할 것이다. 많은 인터넷 대화방이나 게시판 등이 이러한 역할을 제공하기도 한다.

대상 관계[편집]

자폐 장애를 가진 사람은 사람과 정상적으로 접촉을 하지 않는다. 그들은 최초의 공생적 애착을 할 수 없는 것처럼 보인다. 자폐 아동은 심각한 기질적 자아 결함 혹은 왜곡으로 인해 대상과의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환경을 지각하고 조직화하고 상화 작용하는 것이 불가능할 가능성이 있다. 하나의 임상적인 실재로서 자폐 당사자는 환자가 대상이 없는 세계에서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는 점에서 인간발달의 자폐적 단계와 병렬적인유사성이 있다. 거기에는 정서적인 의미가 있는 자기-대상관계가 없다. 몇몇 자폐 당사자는 사람과 관계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하지만 많은 경우 이들은 의사소통 수단으로서 그들의 인지적 기술과 비인격적 사물을 사용해서만 관계를 한다.[1]

유명한 자폐 당사자[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N.Gregory Hamilton.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 자기와 타자》. 학지사. 

외부 링크[편집]

'TV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Living Daylights  (0) 2019.09.27
Autism  (0) 2019.09.26
레인 맨  (0) 2019.09.26
Rambo: Last Blood  (0) 2019.09.25
Sylvester Stallone  (0) 2019.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