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정부는 넝마주이들에게 관할시청에 등록하여 증명을 받고, 지정된 복장과 명찰을 달고 지정구역 내에서만 취업하도록 하였으며, 미등록 넝마주이는 처벌하고 폐품 수집을 하지 못 하도록 했다. 이와 같이 등록된 넝마주이들은 근로재건대라는 명칭으로 경찰의 관리, 감독을 받았다.
근로재건대(勤勞再建隊)
사회구조단체
1962년 정부에 의해 조직된 넝마주이의 단체.
- 분야
- 사회구조
- 유형
- 단체
- 시대
- 현대
개설
연원 및 변천
1962년 6월 정부는 사회적으로 잠재적 우범자로 간주되던 넝마주이를 관리하기 위해 등록 사업을 벌였다. 이에 따라 서울 지역의 넝마주이 1,280명이 근로재건대로 조직되었으며, 11개 경찰서에서 이들을 수용하고 관리하였다. 또한 전국적으로 각 경찰서별로 근로재건대가 군대식 체계로 조직되었으며, 당시 넝마주이는 서울에 1,218명, 부산에 1,180명, 대구에 600명, 대전에 500명 등 전국 주요 도시에 약 3,490명이 등록되어 있었다.
근로재건대는 1970년대 후반까지 경찰뿐만이 아니라 종교, 시민단체에 의해서도 운영되었으며, 1979년 6월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자활근로대로 통합되었다. 자활근로대의 조직 및 운영관리는 경찰이 담당하였고, 시설 및 복지환경 개선을 보건사회부가 담당하였다. 1995년에 이르러 자활근로대원의 감소로 폐지되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유지된 이 단체는 한국 산업화에서 소외된 넝마주이를 비롯한 빈민을 ‘잠재적 범죄자’로 간주하고, 경찰의 감시·감독을 받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참고문헌
자활근로대 운영폐지 (경찰청 방범국, 1995)
「제도로서의 인권과 인권의 내면화」(이정은,『사회와 역사』 제79집,2008)
「포이동 266번지: 넝마주이마을과 넝마공동체」(윤수종,『진보평론』 제29호,2006)
「넝마공동체의 성격과 그 변화」(윤수종,『민주주의와 인권』 제2권 1호,2002)
동아일보 (1962.5.23)
경향신문 (1962.5.2)
동아일보 (1961.6.28)
집필자
- 집필 (2011년)
- laotao@hanmail.net
'TV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핏케언 제도 (0) | 2019.01.17 |
---|---|
그것이 알고싶다의 에피소드 목록 (2008년) (0) | 2019.01.16 |
사진작가 죽음 연출 사건 (0) | 2019.01.16 |
데이비드 스트러세언 (0) | 2019.01.15 |
David Strathairn (0) | 2019.01.15 |